노사정위 근로시간 단축논의 초반부터 난항

중앙일보

입력

노사정위가 최근 근로시간 단축을 논의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하는 등 근로시간 단축문제가 노사간 최대현안으로 부상하고있으나 양측의 견해차가 워낙 커 논의 초반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노사정위는 지난달 28일 본위원회의 합의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문제 논의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한데 따라 2일 실무회의를 갖고 특위구성을 위한 협의에 들어가기로 했으나 노사양측은 특위 명칭과 구성방법에서 부터 이견을 노출했다.

우선 특위 명칭의 경우 한국노총측은 노동시간 단축특위로 명시할 것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사용자측인 한국경총측은 근로시간 단축 외에도 임금체계등 광범위한 문제를 다뤄야하는 만큼 특위 명칭을 `근로시간 단축'으로 한정지어서는 안된다는입장이다.

이는 노동계가 근로시간 단축 문제를 최대한 집중적으로 논의, 빠른 시일내 근로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인데 반해 사용자측은 근로시간 단축을 연봉제.퇴직금제도 등 임금체계 전반의 개선문제와 연계해 광범위하게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이와함께 특위 구성방법에 있어서 노동계는 근로시간 단축문제를 범국민적 차원에서 논의키 위해 노.사 외에 시민단체까지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용자측은 노.사 양측과 정부,학계 인사 정도로 구성하자는 입장이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3일 "근로시간 단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안"이라며 "이 문제가 범국민적 차원의 관심속에 논의되기 위해서는 여성계와 시민단체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한국경총 관계자는 "근로시간 단축을 임금과 떼어서 논의할 수 없기 때문에 임금체계 개선 문제도 함께 병행해서 논의해야 한다"며 "한편으로 우리나라 경제사정을 고려할 때 이 문제의 논의자체가 시기 상조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