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남북정상회담 국가위험 감소·투자자금 유입 호재"

중앙일보

입력

증시전문가들은 오는 6월12일부터 14일까지 평양에서 열릴 예정인 남북정상회담은 우리나라의 국가위험도를 줄이는데 기여해 외국인투자자금 유입등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또 굴뚝산업으로 분류되는 전통산업의 과잉설비의 북한이전 등을 통해 산업구조조정과 북한에 대한 사회간접자본 투자와 교역 등에 힘입어 건설, 무역상사등 남북경협관련주들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남북정상회담은 이같은 낙관적인 전망에 따라 투자심리를 호전시킬수 있는 호재로 작용하겠지만 종전과 마찬가지로 성과가 가시화되지 않을 경우 증시에 대한 영향은 단기적 재료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박문광 차장은 남북정상회담은 투자심리를 크게 호전시킬것이며 국내 시설과잉산업들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또 최근 남북관계는 과거처럼 일시적인 필요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전략적인 필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국가위험도 감소로 인해 외국인투자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차장은 그러나 구체적인 내용과 가시적인 성과를 갖지 못할 경우에는 제한적인 영향에 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LG증권 투자전략팀 박수용연구위원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남북경협주에 대한기대감을 크게 불러 일으킬 것이라면서 가공무역, 섬유, 가전, 전자제품조립 등의 산업에도 호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서해안공단 사업과 물류수송 도로 및 철도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으면 단발성 호재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면서 남북경협의 경제성도 현재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박 연구위원은 남북정상 회담이 증시전반에 대해 호재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만나는 자체보다도 구체적이고도 가시적인 내용들이 회담내용에 담겨져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증권 조사부 이효근 연구위원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작년 9월 페리 보고서에서 제시된 일괄타결협상 과정의 하나로 보인다면서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면 북한에 대한 사회간접자본, 농업 등에 대한 우리기업의 직접적이고도 대규모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 같은 지원으로 긴장.대치 관계로 이해됐던 남북관계에 진정한 해빙무드가 조성되면 외국인들이 남북관계를 보는 시각이 크게 호전될 수 있다면서 이로 인해 국가위험도가 줄어들면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그러나 남북경협이 기존에 논의돼 왔던 내용을 정리하는 수준에그치거나 우리측에서 막대한 경협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할 때 자금지원에 따른 논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보면서 평가해 할 것 같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김재홍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