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로 성씨 판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전자 분석으로 사람의 성(姓) 을 알아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만약 이같은 연구가 실용화되면 범행 현장에서 채취된 혈흔이나 머리카락만으로도 범인이 어떤 성씨인지 알아내 수사망을 좁힐 수 있게 된다.

지난 4일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의 브라이언 사이커스 교수는 최근 자신과 같은 성씨를 가진 자원봉사자 61명의 유전자를 채취, 분석한 결과 다른 가계에선 발견할 수 없는 고유의 유전자 특성을 찾아냈다.

사이커스 교수는 또 함께 실험한 다른 세 집안의 유전자 분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와 유전자만으로 어느 가문의 후손인지 알아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단 존스.스미스처럼 흔한 성의 경우는 판별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 학술지인 미국 인간유전학회지에 게재됐다.

이 논문에 따르면 61명의 ''사이커스'' 성씨들의 DNA 가운데 절반 이상의 유전자에서 모두 네가지의 고유한 특징이 공통적으로 발견됐다. 이처럼 사이커스 가문만이 갖는 유전적 특성은 영국의 다른 가문, 특히 사이커스가의 뿌리인 요크셔 지방의 다른 가문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사이커스 교수는 이에 대해 한 가문의 유전적 특징이 오랜 세대를 거쳐 내려오면서 DNA의 특정 부분에 가문의 특성이 담긴 정보가 기록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같은 가문의 후손인데도 이같은 유전자 특징을 갖지 않는 사람도 있었다면서 "이는 13~14세기에 형성된 사이커스 가문이 7백년을 내려오면서 혈통의 순수성이 훼손된 경우로 생각된다" 고 밝혔다.

그는 또 이같은 판별법이 남성의 Y염색체 분석을 토대로 한 것이어서 가계가 내려오는 도중 어머니의 성씨를 물려받은 사람이 있는 가문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