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부터 영어공부…일본, 교육개혁 열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쿄〓오영환 특파원]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게이단렌(經團連)이 유치원부터의 영어교육을 공식 요구하고 '전후 교육 총점검' 을 기치로 내건 총리자문기관이 출범하는 등 일본 열도에 교육개혁 열풍이 불고 있다.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총리의 자문기관인 '교육개혁 국민회의' 는 27일 공식 출범과 함께 첫 회의를 가졌으며 앞으로 매달 두 차례씩 모임을 통해 21세기 교육개혁에 관한 지침을 마련한다.

일본에서 교육 문제를 논의하는 총리 직속기관의 설치는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내각의 임시교육심의회(1984~87년)이래 처음이다.

교육개혁 국민회의는 21세기에 걸맞은 인재 육성을 위해 ▶학제 개편▶교육의 황폐화 대책▶개성 중시 교육등에 대해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오부치 총리는 "현행 교육기본법이 시대에 맞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야한다" 며 획기적인 개혁안을 주문했다.

교육개혁 국민회의 에사키 레오나(江崎玲於奈.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위원장은 개혁 방향에 대해 "고등학교를 의무교육 대상에 포함시키고 현행 초.중.고 6-3-3년 학제를 4-4-4년제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며 "월반제.유급제도 필요하고 학급인원을 현재 30명에서 24명으로 줄여야 한다" 고 덧붙였다.

이 회의는 올 여름께 개혁방안에 관한 중간보고서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 게이단렌은 영어교육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유치원에서부터 외국인 교사들을 집중 투입해 영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외국인 교사들을 채용해 회화 중심의 영어교육을 시키고 일본인 영어교사들도 토플(TOEFL)이나 토익(TOEIC)등 영어시험 점수를 토대로 채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학생들이 공립 초등학교나 중학교에 들어갈 당시 거주지역에 위치한 학교에 들어가게 돼있는 현재의 제도를 철폐해 초등학교나 중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권유하는 등 일본 교육제도의 전반적인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