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건 “2학기 전까지 등록금 해법 제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양건 감사원장

양건 감사원장은 12일 “감사원의 모든 역량을 동원해 올해 2학기 전까지 대학 등록금 문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 원장은 이를 위해 “ (감사) 일정을 당겨 대학생들의 2학기 등록 전까지 방안을 마련하라고 정창영 사무총장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다음은 중앙일보와 단독 통화 내용.

 -등록금 감사 일정을 앞당기나.

 “7월 예비조사, 8월 본감사로 잡힌 감사 일정을 좀 더 당기도록 지시했다. (200여 개 대학에 대한) 전수조사가 어렵다면 샘플로 몇 군데 대학을 먼저 조사하더라도 (감사를) 빨리 할 필요가 있다.”

 -등록금 감사는 직접 지시했나.

 “원래 올 11월에 계획된 것인데 일정 앞당기고 규모 확대하라고 했다.”

감사원은 앞서 10일 전국 200여 개 4년제 국·공·사립대학(사이버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등록금 산정 기준이 타당한지 여부를 따지는 전면감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양 원장은 중앙일보의 어젠다인 ‘등록금 내릴 수 있다’와 관련한 보도에 대해 “기사를 잘 읽고 있으며 감사가 시작되면 참고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등록금 감사에 주력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진행 중인 학교공사 등 교육비리 감사 일정은 조금 늦추겠다는 뜻도 밝혔다.

 -교육비리 감사와 동시에 할 수 있나.

 “학사운영과 공사계약 부분은 끝냈고 인사비리(를 감사할) 차례였다. 등록금 감사를 우선할 필요가 있어 일단 뒤로 미룬다. 교육비리 감사를 소홀히 하겠다는 게 아니라 충분히 정보수집할 시간을 번 거다.”

 -사립대학의 반발이 특히 심한 것 같다.

 “우려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할 것이다. 사립대학에 대한 감사는 여러 선례가 있다. 교육과학부와 함께 감사를 할 것이다. 또 민간 전문가들을 참여시킬 방침이다. 가급적 논란이 일지 않도록 신경을 쓰겠다.”

 감사원은 등록금 감사와 관련해 “이번 감사는 부당하거나 불합리한 지출을 집어내는 게 목적”이라며 “이것들을 걷어내면 등록금 인하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원장 취임 직후부터 교육 분야에 특히 관심이 많은 것 같다.

 “30년 넘게 (대학) 강단에 서서 교육 문제에 대해선 비교적 잘 아는 편이며, 그에 대한 경험도 많은 편이다. 교육이 제일 중요한 문제 아닌가. 등록금과 교육비리 문제, 이 둘에 대해선 내 임기 내에 확실히 성과를 거두고 싶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