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업 GDP 비중 크게 줄었다

조인스랜드

입력

[한진기자]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성장이 지체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대비 건설업 생산 비중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이 30일 발표한 `주요국의 건설경기 침체 대응전략 연구`에 따르면 GDP 대비 우리나라의 건설생산액 비중이 1990년 이후 3.0%p가 하락해 세계 41개국 중에서 하락폭이 4번째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기 등 잦은 파동과 직접규제로 건설시장의 불안정성도 전체 41개국 가운데 13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건설시장은 연평균 0.3% 성장하는데 그쳤으며, 지난해 1억원 이상의 공사를 1건도 수주하지 못한 건설업체의 비중이 2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건산연은 상위 100대 업체 중에서 적자를 기록한 기업의 비중이 25%에 달해 한계 상황에 이르렀다고 분석했다.

▲ 건설산업 비중 변화 국제비교(1990~2007년)


외국의 경우 장기적인 건설투자 감소는 고용 및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해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지적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활성화 대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건설산업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공공시설투자 등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 재정지출의 14.8%를 녹색건설 투자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 발주물량을 조절해 시장안정을 도모하고 침체기일수록 입찰과정의 투명성 제고와 과도한 저가낙찰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요국의 건설업체들은 침체기일수록 수주확대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경영전략을 펴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체 개발사업이나 사세확장 등을 위해 시도했던 신규 사업은 축소 조정하는 대신, 리스크가 적은 도급사업에 집중하는 등 침체기일수록 본업에 회귀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건산연은 이처럼 외국의 사례의 시사점을 강조하면서 “우리나라도 현재 미분양 주택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공공주택 건설을 강행하기보다는 융통성있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4대강 살리기 사업 등 녹색관련 건설투자는 환경과 에너지라는 광의의 시각에서  장기적으로 일관성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