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군 경력 인정 부작용 많다'

중앙일보

입력

재계는 군필자에 대한 호봉인상 등 경력 인정 문제가 제도화되면 조직 내부적으로 또 다른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와 삼성, LG, SK 등 주요 대기업들은 대부분 군필자에 대해 채용상의 특혜가 없는 것은 물론 호봉을 높여주거나 경력을 인정하는 등의 혜택을 주지 않고 있다.

동아 등 일부 대기업과 중견 기업들은 계열사별로 군 복무 기간에 따라 1-2호봉씩 높여 주고는 있으나 대부분 다른 인사상 혜택을 주지 않는 상태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군 경력을 인정하자면 기존 사원들까지 소급 적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신입 사원에만 혜택을 줄 것인지 등이 불명확하고 어떤 방식을 취하든 또 다른 형평상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대의 인사 담당 관계자는 "군필자 경력 인정이 필요하다면 개별 기업들의 내부 사정을 감안, 자율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며 "군경력 인정은 일종의 연공 서열에 의한 인사 혜택 방식인데 능력 및 성과 위주의 연봉제가 일반화되는 시대에 걸맞지 않다"고 말했다.

LG 관계자도 "공무원 채용과정에서의 가산점 특혜 논란으로 인해 불거진 군 경력 인정 문제가 민간 기업들에게 불똥이 튀기는 형국"이라며 "성과급 위주의 임금체계가 자리잡아 가고 있는 상황에서 호봉 인정은 의미가 없다"고 반박했다.

대기업 관계자들은 "과거 군 경력 인정 문제를 기업들이 검토한 적이 있으나 기업들로선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은데다 사원들간 기존의 임금 서열이 뒤바뀌는 등 혼란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와 관련, "군필자에 대한 경력 인정 여부는 기업 자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제도적 장치를 마련, 기업들에게 강제적으로 인사 규정을 바꾸도록 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