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등 세계 반도체 6사, 차세대 D램 공동개발 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 삼성전자와 현대전자,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텔, 일본 NEC, 독일 인피니온테크놀로지 등 세계 반도체 6사는 22일 PC용범용 D램반도체를 공동개발키로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이들 6사는 조만간 컨소시엄 방식으로 신조직을 설립한 뒤 1기가(1기가는 10억)비트급의 표준규격을 정해 공동설계에 착수, 2002년을 목표로 각사가 제품화하게 되며 공동개발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로부터는 기술사용료(로열티)를 징수할 방침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세계 D램 반도체 시장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는 이들 메이커가 차세대 제품 개발에 제휴함으로써 앞으로 과점체제가 한층 강화돼 업계의 재편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닛케이는 전망했다.

공동개발에는 수백억엔의 경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참여업체는 신조직에 기술자를 파견, 차세대 메모리 제품의 규격을 통일하고 공동 설계로 시작품을 개발해 내년 1월 발표할 계획이다.

D램의 기억용량은 현재 64메가비트에서 256메가비트로 세대교체중이나 각사에서 개별적으로 미세가공기술을 개발, 고집적화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신조직에서는 256메가비트는 공동개발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을 방침이다.

신조직은 공동개발한 제품과 기술을 다른 업체들이 사용할 경우 로열티를 받게 되는데, 1사당 연간 약 100억엔의 부담이 될 가능성이 커 대만(대만) 등 신흥업체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D램 시장 규모는 올해 약 1조5천억엔 규모로 이중 삼성전자와 미국의 마이크론사가 약 20%로 수위를 다투고 있으며 현대전자, NEC-히타치연합, 인피니온 등이 추격중이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