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과학벨트, 과학자들 목소리 경청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지방에 신도시 하나 짓는 차원이 아니다. 이는 국내외 과학자들이 최고의 환경에서 마음껏 기초과학을 연구할 수 있는 연구시설과 문화·교육·주거 단지를 만들자는 것이다. 한국의 과학자들이 구체적으로 이 염원을 태동시킨 건 2004년이었다. 과학자들은 2005년 대선 주자들에게 이 계획을 제안했다.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이가 이명박 서울시장이다. 이 시장은 과학거점에 교육·금융·산업을 연계하는 ‘벨트(belt)’ 개념으로 제안을 확장해서 공약으로 내세웠다.

 계획의 이런 역사를 보면 이 일이 과학발전에 얼마나 중요하며, 얼마나 신중하고 과학적으로 입지가 선정돼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이를 하나의 지역 개발프로젝트 정도로 다루면 계획의 본질이 망가질 가능성이 크다. 계획과 연계해서 지역이 발전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먼저 고려돼야 할 것은 ‘과학단지로서의 적합성’이다. 세계적인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를 만들었을 때 이를 운용할 국내외 고급인력이 기꺼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과학자들이 모여야 과학단지가 되고 그 다음에 주변지역이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디에 이런 시설을 지어야 할지 가장 정확하게 판단할 이들은 누구일까. 청와대인가, 여야 국회의원인가. 아니면 지방자치단체장인가. 정답은 ‘과학자’일 것이다. 그들이야말로 국내외 과학계의 사정을 잘 알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얼마나 중요한 염원이며 어디로 가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사회는 이미 이런 장치를 만들어 놓았다. 지난해 12월 통과된 특별법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에 설치되는 위원회가 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법은 4월 초부터 시행된다.

 이런 절차가 있는데도 이 문제는 지금 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다. 대전과 충남·북, 경기도와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지역의 단체장과 국회의원·주민·전문가들이 모임이나 시위를 갖고 유치를 주장하는 것이다. 입지를 두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당내에서도 갈라져 있다. 이런 혼선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의 책임이 크다. 이 대통령은 2007년 대선 때 선거를 의식해 ‘충청권 입지’를 공약했던 것이다. 그러니 충청권은 공약을 지키라고 강력히 외치고 있다. 다른 지역은 특별법을 거론하며 ‘사전 홍보 경쟁’에 나선 것이다. 걱정인 것은 과학단지를 여러 개로 쪼개 분산시킴으로써 정치적으로 해결하려 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이다.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이 계획의 제안에 중심 역할을 했던 핵물리학자다. 그는 9일자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지역 대립이 격화되는 현실이 안타깝다. 지역공모제도 갈등만 부추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립적이고 합리적인 위원회가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치권이 새겨들어야 할 얘기다. 우선 과학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게 중요하다. 지역의 목소리들은 일단 ‘대기모드’로 들어가는 게 옳을 것이다. 한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었던 과학자들의 합리성을 믿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