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사태] 이헌재 금감위장 문답…"책임묻는건 정상화 후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헌재(李憲宰)금융감독위원장은 2일 "지금 시급한 일은 회사를 살리는 것이지 과거 잘못을 규명하는 게 아니다" 고 말했다. 그는 이날 김우중(金宇中)회장 등 대우 경영진에 대해 '사법처리' 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나 우선은 워크아웃의 정상적인 추진이 먼저라며 선후관계를 분명히 했다.

李위원장은 또 대우 계열사 매각과 외자유치도 출자전환 등으로 채권단이 경영권을 확실히 장악한 뒤에 회사가 제대로 돌아갈 때 추진하겠다고 강조해 대우 주도의 매각.외자유치 작업은 사실상 중단했음을 시사했다.

다음은 李위원장과 일문일답.

- 주력 4개사에 대한 워크아웃은 해외채권단의 동의가 필요한데.

"해외채권단과 국내채권단, 기업구조조정위원회 등 3자가 협의할 것이다. 다만 우리는 시간이 없는 만큼 한달이상 시간을 끌 수는 없다. "

- 김우중 회장의 사법처리는 검토되고 있나.

"지금은 사법처리를 논의할 단계가 아니다. 워크아웃 계획을 빨리 확정해 경영정상화를 이룬 뒤 매각이나 자본제휴를 통해 회사를 살리는 게 급선무다. 이같은 상황에서 당장 책임추궁에 나선다면 대우그룹 임직원들의 협조를 받을 수 없어 경영정상화도 어려워진다. 책임 소재는 따져야 하겠지만 일에는 선후와 경중을 가려야 한다. "

- 그렇다면 12개 계열사 사장들은 계속 경영에 참여하게 되나.

"워크아웃 약정이 체결되면 채무조정에 이어 주주총회를 열게 된다. 이때 어차피 새 경영진이 선임된다. 그때까지 공백은 기존 경영진이 메워줄 수밖에 없다. "

- 새 경영진은 어떻게 뽑나.

"전문경영인을 영입할 것이다. 물론 내부 발탁도 가능하다. "

- 회계법인이나 신용평가사의 책임은.

"그것도 차례차례 해나갈 계획이다. 다만 신용평가사는 회계법인이 낸 객관적 자료에 의존해 신용등급을 매길 수밖에 없어 고의성이 없다면 먼저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고 본다. "

- 주력 4개사의 매각이나 외자유치는 어떻게 되나.
"예컨대 대우차는 채무조정을 한 뒤에도 우량자산과 불량자산이 섞여 있을 수 있다. 이때 외자유치는 워크아웃 계획의 테두리를 그냥 두고 외국자본이 합작 형태로 들어올 수도 있고, 우량자산만 따로 떼내 별도 회사를 세운 뒤 이 회사에 지분 참여할 수도 있다. 다만 매각이나 외자유치를 바로 추진하면 제값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누가 주인인지 분명하게 해놓고 회사가 여유있게 돌아가는 수준이 된 뒤에 매각이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 ㈜대우는 자산의 상당부분이 계열사에 대한 투자나 대여금인 지주회사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무역.건설 사업부문과 지주회사로서의 역할부문을 떼내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대우의 워크아웃은 다른 계열사가 모두 확정된 뒤 정해질 것이다. "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