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겪으면 원래 성장추세 회복불가능'…KDI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번 외환위기를 겪으면 일반적으로 원래의 성장추세를 영원히 따라잡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홍기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5일 국제통화기금(IMF)체제에 들어선지 2년을 앞두고 이 연구원 주최로 열린 '한국의 경제위기 전과 후' 국제학술세미나에서 이같은 내용의 `외환위기 발생이후 아시아 경제의 전개'라는 논문을 내놨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80년이후 103개국의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외환위기를 겪은 나라들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외환위기 수준을 회복하는데는 평균 2∼3년 걸렸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겪지 않았을 경우에 이를 수 있는 GDP추세에는 끝내 도달하지 못했다.

홍 위원은 "예를들어 84년에 GDP 100을 기록했다가 85년초에 외환위기를 겪은 나라의 경우, 3년만인 88년에 위기직전의 GDP 100을 회복할 수는 있다"면서 "그러나 위기를 겪지 않았다면 추세적으로 예상되는 88년 GDP 130에는 도달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외환위기 이전의 성장추세에 도달한다는 것은 환상이며 그 추세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경기회복세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홍 위원은 "위기로부터 회복하는 속도는 위기이전의 과잉투자, 과다대출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면서 "한국의 경우 다른 위기경험 국가들보다는 이들 문제가 심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회복속도가 빠른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세미나에서 신인석 KDI 연구위원은 `위기예측기의 자본이동'이라는 논문을 통해 "한국의 위기전에 외국채권자들은 개별은행의 신용도에 따라 대출여부를 결정했던 게 아니라 외환보유고 등 국가신용도를 중시했다"면서 "한마디로 개별은행의 위험도에는 무관심했다"고 피력했다.

같은 연구원의 조동철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통화정책의 환율안정효과'라는 논문에서 "위기이후 원화가치를 회복시키는데는 저금리보다는 외환유동성(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 비율) 확보가 많은 기여를 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