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5억1000만원 필요한데 부지런히 모아도 3억3000만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은퇴한 뒤 필요한 노후자금은 100인데, 실제 마련할 수 있는 돈은 불과 65.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들의 현실이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이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에 의뢰해 도시 근로자의 은퇴자금 준비를 분석, 30일 발표한 결과다. 서울대는 통계청의 가계 수입·소비 실태와 노동부의 임금 조사,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의 펀드 투자자 조사 등을 토대로 현재 근로자들의 은퇴 후 예상소득 수준을 산출했다.

 이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들은 2010년 화폐가치로 따져 3억3000만원을 은퇴자금으로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개인 저축 1억6000만원,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 연금 1억3000만원, 퇴직연금 1000만원 등이다. 보유 부동산은 이에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를 주도한 서울대 최현자(소비자학) 교수는 “대도시인들이 생각하는 은퇴 후 필요 자금 규모는 5억1000만원”이라고 밝혔다.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2007년 서울과 6대 광역시 성인 3500명에게 은퇴 후 생활을 위해 얼마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다.

 얼핏 많은 금액 같지만, 은퇴 후 30년에 걸쳐 연금으로 매달 140만원을 받으면 5억1000만원이 된다. 이 돈으로 자녀의 결혼 비용 같은 목돈과 노후 의료비 등도 충당해야 한다. 다른 수입이 없으면 이 돈만으론 살림이 무척 빠듯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마저도 도시 근로자들이 스스로 장만하기에는 1억8000만원(35%)이 모자란다는 게 이번 연구의 결론이다. 부족분은 부동산을 처분하거나, 은퇴 후에도 다른 일자리를 갖 는 식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피델리티자산운용과 서울대는 이날 ‘은퇴소득대체율’이란 지표를 발표했다. 은퇴 후 예상되는 평균 연간소득이 은퇴 직전 연소득의 몇 %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국내 도시근로자의 경우 은퇴소득대체율이 42%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꿔 말하면 은퇴 후 소득이 은퇴 전보다 58% 감소한다는 얘기다. 미국(58%), 홍콩(54%), 일본(47%) 등은 한국보다 은퇴소득대체율이 높았다.

 은퇴소득대체율은 3년 전 조사(41%) 때보다 1%포인트 높아졌다. 상황이 조금 나아진 것 같지만 속내는 달랐다. 대체율이 증가한 주된 이유는 국민연금 수령 예상액이 늘어서다. 퇴직 후 소득에서 국민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분석 때 32%에서 이번에는 41.1%로 높아졌다. 반면 개인연금이나 저축 등 개인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4.4%에서 55.7%로, 퇴직연금과 퇴직금의 비중은 3.6%에서 3.2%로 감소했다.

최현자 교수는 “금융위기 이후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저축률이 낮아지고 금리도 떨어진 반면, (물가 상승 등으로) 가계지출은 늘어나는 바람에 개인저축 등의 퇴직 준비 기여도가 뚝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의 은퇴소득대체율이 35%로 가장 낮았다. 50대들의 코앞에 닥친 퇴직이 실제 이뤄지면, 수입이 갑자기 65% 감소한다는 의미다. 직장에 있을 때와 나왔을 때의 온도 차가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1955~63년생을 일컫는 ‘베이비붐 세대’의 상당수가 바로 이 연령대에 포함된다. 5년 전 시작된 퇴직연금제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는 점이 은퇴 후 수입이 급감하는 원인이다.

 이들이 퇴직하기 시작하면 부족한 수입을 메우기 위해 부동산을 처분할 가능성이 크다. 고정자산의 유동화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바닥인 집값은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다른 직장을 찾기 어려운 연령대이므로 소자본으로 자기 사업을 하려는 사람도 늘 전망이다.

피델리티자산운용 정찬교 부장은 “베이비붐 세대의 상당수는 직장 퇴직 후에도 소득을 올리기 위해 자영업 전선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