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때 승용차 강제 2부제 할 뻔했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난 11~12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중 승용차 자율 2부제가 시행되기까지는 곡절이 있었다고 정부 관계자가 21일 전했다. 정상회의 전 국무총리실을 중심으로 한 관계부처는 강제 2부제 실시를 검토했었다. 현장 통제를 맡고 있는 경찰청과 국토해양부 등에선 “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선 강제 2부제의 효과가 더 크다” 는 등의 의견을 냈다. 그래서 총리실과 관계부처는 강제 2부제를 하기로 결정했다.

그런 상황에서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김두우 기획관리실장은 ‘자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 국민을 한번 믿어 보자. 자율로 하면 그걸 준수한 국민들이 ‘나도 G20의 성공적 개최에 기여했다’는 자부심을 가질 테니 그렇게 하는 게 더 좋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두 사람이 이런 주장을 한 데엔 이 대통령이 자율 2부제가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강제냐 자율이냐’는 정부 내 논란은 이 대통령이 “강제로 하면 G20 행사 자체는 더 성공적일지 모른다. 하지만 자율로 해야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교통정리를 하면서 끝났다고 이 관계자는 밝혔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