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가쟁명:유주열] 周恩來의 雨中嵐山

중앙일보

입력

밤이 으슥하였다. 저우언라이(周恩來)총리는 키신저의 숙소를 찾았다. 파키스탄에서 비밀리 北京으로 날라 온 키신저는 周총리와의 회담이 쉽지 않음을 알았다. 모두를 포기하고 파키스탄으로 귀환코저 했다. 그때 周총리가 나타난 것이다. 周총리는 자신이 癌선고를 받고 있어 얼마 살지 못한다는 극비사항을 틀어 놓았다. 살 날이 얼마 남지않은 자신과 교섭하는 것이 중미 양국에 조금이라도 유리 하지 않겠느냐고 설득했다. 周총리의 간절한 애국심이 키신저를 움직였다. 1972년 닉슨의 방중이 이루어 진다.

周총리는 젊은 시절 모호속에 방황하여 일본유학을 중도 포기한다. 그는 天津의 南開중학을 거쳐 1917년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 일본의 東京에 도착한 그는 明治대학 정치경제학과에 다니면서 새로운 문물을 접하였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하고 10년만에 다시 유럽의 강자 러시아를 꺾은 일본을 배우자고 많은 중국의 젊은이들이 일본유학을 떠났다. 그러나 욱일승천의 일본은 일차세계대전의 승전국으로 오히려 중국을 압박하고 있었다. 침략 기세가 등등한 일본에 더 머물고 싶지 않은 중국의 애국 유학생들사이에서는 항일 귀국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周恩來도 방황하던 중 모교 南開중학에 대학부가 생겼다는 소식에 접하고 귀국을 결심하게 된다. 그는 天津행 배를 타기위해 고베(神戶)로 가는 도중에 교토(京都)를 방문하였다. 1919년 벛꽃이 만개한 4월5일이었다.

교토의 서남쪽에 있는 아라시야마(嵐山)는 일본의 헤이안(平安) 시대부터 귀족들의 별장지가 많았던 풍광이 수려한 곳이었다. 봄에는 벚꽃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다웠다.

周恩來가 찾아간 嵐山에는 마침 비가 내리고 있었다. 비안개로 소나무와 벚꽃이 섞여 시계가 흐릿했다. 그런데 갑자기 한줄기의 광명이 구름사이로 비쳐 나오는데 너무 아름다웠다. 그는 문득 깨달았다. 인간만사가 생각할수록 비안개 속처럼 모호하지만 그 모호속에서 한 점의 빛이 볼수록 아름다운 것을!

“人間的萬象眞理 愈來愈模糊,
模糊中偶然見着一点光明 眞愈見嬌姸”

청년 周恩來는 자신의 장래에 대한 불안과 모호속에서 방황하는 가운데 嵐山에서 쏟아져 나온 일점 광명이 자신의 앞날을 밝게 인도하는 것으로 느꼈다고 일기에 적고 있다. 天津으로 귀국 南開대학에 입학한 周恩來는 곧이어 항일 5.4 운동에 참여하였고 다음해인 1920년 더 넓은 세상을 향해 파리로 유학한다.

일본과 중국은 1978년 중일우호조약체결하고 嵐山공원에 周恩來의 詩를 새겨 碑를 세웠다. “雨中嵐山”이라는 周恩來 詩碑는 일본을 방문하는 많은 중국지도자들의 필수 방문코스가 되었다.

최근 중국과 일본사이에 釣漁島(센카쿠제도) 문제로 험악하게 대립되었을 때 누군가 이 詩碑에 페인트 스프레이를 뿌렸다고 한다. 영토문제로 雨中嵐山 처럼 모호속에 빠진 중일관계에 周恩來가 보았던 일점광명을 어찌 보지 못했을까.

유주열 전 베이징총영사=yuzuyoul@hotmail.com

※중앙일보 중국연구소가 보내드리는 뉴스레터 '차이나 인사이트'가 외부 필진을 보강했습니다. 중국과 관련된 칼럼을 차이나 인사이트에 싣고 싶으신 분들은 이메일(jci@joongang.co.kr)이나 중국포털 Go! China의 '백가쟁명 코너(클릭)를 통해 글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