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볼까, 내게 맞는 고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올해 중3은 교육과정과 2014학년도 수능의 변화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고교 유형을 찾는 지혜가 필요하다. [황정옥 기자]

올해 중3은 고교를 고를 때 어느 때보다 신중해야 한다.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입시의 큰 틀이 바뀌어 선택한 고교에 따라 입시 준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학생 상황에 따른 고교 유형별 유·불리를 따져봤다.

중3, 원서 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입시 연계 고려해 인문은 외고·국제고, 자연계는 자율고

과학고와 예체능 계열을 빼면 전기 모집에서 고를 수 있는 학교는 외고·국제고·자율고뿐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대학입시를 고려해 “진로가 인문계면 외고·국제고를, 자연계면 자율고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진단했다. 바뀐 교육과정에 따라 외고는 전공 외국어 수업이 60% 이상으로 늘고 국제고는 전공과 외국어 수업을 80단위 이상 이수해야 한다. 성남외고 박래홍 교사는 “대학에서 어문·국제계열을 전공하려는 학생에겐 관련 스펙(비교과 활동·실적)을 챙길 수 있고 특기적성의 연계성을 내세울 수 있는 외고·국제고가 장점”이라고 말했다. 국제무역·국제법 등 경상·법학계열로 지원 폭을 넓힐 수도 있다.

그러나 자연계 진로를 원하는 학생에겐 외국어 수업이 늘어나는 외고 교육과정 변화가 부담이다. 2014학년도 수능에선 응시과목 축소로 대학별 고사가 강화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분당이투스청솔학원 이석근 중등부 교무실장은 “자연계 진로를 원한다면 수학·과학을 심화학습할 수 있는 자율고(자율형·자립형사립고)로 진학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자율고는 주요 과목 위주로 수업할 수 있어 대입 준비를 탄력적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장은 “바뀐 교육과정의 집중이수제(두 학기로 나눈 교과 진도를 한 학기에 마치는 제도)를 이용하면 학습여력을 입시에 집중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은 내신반영률이 높다. 외고·국제고 합격자도 지원 폭을 넓히려면 자연계 과목을 골고루 공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진로 못 정했다면 일반고·중점학교서 적성·내신 챙기기

적성·진로가 어렴풋한 학생에겐 중점학교가 제격이다. 중점학교는 특목고와 일반고의 중간 형태로, 과학·예술·체육 중점학교가 있다. 예를 들어 과학중점학교는 과학·수학 이수비율이 40~50%로 영재학교·과학고(60%)보다 적고 일반고(30%)보다 많다. 고1은 연 60시간 이상 과학체험활동을 하고 과학과목 외에 과학교양 1과목을 더 이수해야 한다. 고2가 되면 과학중점과정과 일반과정 중 진로·적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서울 은광여고 조효완(전국진학지도협의회 대표) 교사는 “바뀐 고교 교육과정에선 창의적체험활동 24단위를 채워야 한다”며 “입학사정관 전형을 준비한다면 특기·적성 관련 과목과 활동을 챙길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골라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과성적은 좋은데 비교과활동이 취약하다면 수능과 대학별 고사 준비에 집중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 실장은 “내신이 최상위면 전국모집을 하는 자율고(민족사관고·용인외고·포항제철고·상산고 등)를 고려해 볼 것”을 제안했다. 다만 우수학생들이 몰려 내신경쟁이 치열하므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투스청솔학원 유성룡 입시정보실장은 “통학거리가 멀어 시간적·체력적 소모가 예상되는 자율고보다 가까운 명문 일반고를 택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장점인 내신성적을 유지하고 싶다면 일반고 중 사교육 없는 학교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전문고 상위대 진학발판 될 수 있지만, 위험 커 주의해야

최근엔 전문계고를 선택해 상위권 대학을 뚫는 학생들도 있다. 높은 내신성적을 무기로 전문계고 학생끼리 경쟁하는 동일계지원 전형을 활용하는 것이다. 방과후에 진학반이나 유학반이 운영돼 입시 준비도 할 수 있다. 전문계고 졸업 직장인을 위한 특별전형을 내년부터 확대하겠다는 정부 방침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유 실장은 “기술과 수능을 함께 준비해 부담이 크다”며 “일반고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고 입시를 준비하는 것이 낫다”고 권했다. 이 실장도 “최근 KAIST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전문계고 출신 합격생이 나오고 있지만 극소수”라며 “목표가 중위권 대학이 아니라면 위험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박정식 기자
황정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