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1개 4150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배추 값이 연일 초강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무와 얼갈이 등 배추를 대신해 김치를 담글 수 있는 채소류 값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에 따르면 5일 현재 무는 개당 4150원에 팔리고 있다. 지난해 이맘때(1180원)보다 251.7%나 오른 것이다. 농협 하나로클럽(양재점)에서도 무가 개당 3990원에 팔린다. 1년 전보다 219.2% 상승했다. 이마트에서 판매되는 얼갈이는 한 단에 3180원으로 지난해보다 194.4% 올랐다. 부추(단)와 열무(800g)도 각각 39%, 72.4%씩 상승했다.

유통업계에선 이들 역시 배추와 마찬가지로 여름철 폭염과 태풍·호우 등 이상기후 탓에 출하량이 줄어들어 가격이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가을 무의 경우 날씨 탓에 주요 산지인 강원도 고랭지에서 파종과 수확이 늦어져 공급량이 급감했다.

배추 값 강세로 소비자들이 배추 대신 대체재인 무나 얼갈이 등을 찾는 것도 가격을 끌어올린 원인이다. 일반 가정은 물론 급식을 하는 학교나 직장들이 비싼 배추 김치 대신 깍두기와 얼갈이 김치 등을 내놓고 있다.

대파(700g·이마트 기준) 값도 5680원으로 지난해(1980원)보다 186.8% 올랐다. 대파가 김치는 물론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등 쓰임이 많은 데다 배추처럼 비에 약해 수확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마트 김동현 바이어는 “무를 비롯해 배추의 대체재들이 날씨 탓에 수확량이 크게 줄어든 데다 수요가 계속 늘고 있어 한동안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