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구조조정 회오리] 3. 통합 영산대 부구욱 총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통합 후 교육여건이 아주 좋아졌습니다. 앞으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에 초점을 맞춘 '전략 투자'에 집중할 생각입니다."

대학통합의 모범 사례로 꼽히는 영산대의 부구욱(사진) 총장. 그는 대학가에 구조조정 논의가 본격화하기 훨씬 전인 2002년 10월에 이미 같은 재단의 성심외대를 흡수 통합했다. 이런 그의 결정은 통폐합을 통한 경쟁력 강화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라는 자발적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부 총장은 "고교 졸업생 수가 대학정원을 밑도는 정원 역전현상이 코 앞에 닥친 상황에서 한 법인이 두 대학을 운영하는 체제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통합 과정에서 그는 입학정원을 1800명이나 줄였다.

-대학 간 통합은 왜 필요한가.

"주변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대학 응시생 수가 계속 줄고 있는 게 단적인 예다. 이런 상황에서 살아남으려면 선택과 집중으로 경쟁력있는 부분만 키워야 한다."

-구조조정 효과는 나타나고 있나.

"통합 후 대학의 인적.물적 인프라 확보율이 모두 교육부가 제시한 기준치를 크게 넘어서는 등 교육여건이 더 이상 손댈 필요가 없을 만큼 개선됐다. 당연히 교육의 질적 수준도 올라가고 있다. 이제는 전략적인 경쟁력 제고에 힘을 모으고 있다. 예를 들어 법학교수들이 참여하는 로펌 설립 추진으로 로스쿨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다."

-대학통합 움직임을 선도했다는 평을 듣는데.

"성심외대와의 통합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뒤 여러 대학이 통합 과정의 문제점.해결 방안.성과 등을 물어 온다. 일종의 벤치마킹인 셈이다. 우리 학교의 사례를 참고해 실제로 통합을 추진 중인 대학도 있다."

-정부에 바라는 것은.

"우리나라 대학분야의 진정한 구조개혁을 위해서는 대입정원 축소 등이 불가피하다. 여기에 필요한 물적.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