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끌고 중소기업 밀고 … 대한민국 기업 생태계 울창해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상생협력을 통한 건강하고 경쟁력있는 기업 생태계 조성-.

경쟁력은 기업의 생명이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더욱 빛을 발한다.

경쟁력은 최고의 제품, 최고의 서비스에서 나온다. 최고는 혼자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최고의 제품, 최고의 서비스를 대기업 혼자서 만들 수는 없다.

대기업과 손잡은 중소 협력업체가 최고의 부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일러스트=박용석 기자 ]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단순 하청업체가 아니라 미래시장 창출을 위한 대기업의 파트너인 동시에 우리 경제의 뿌리다. 우리나라 총사업체수의 99%, 전체 근로자의 88%를 차지한다. 대·중소기업 간 건강한 기업 생태계의 조성과 상생협력이 중요한 이유다.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상생이 어제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얼마나 탄탄한 대·중소기업 협력 네트워크를 갖고 있느냐가 글로벌 경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일이 많아졌다.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기업 생태계가 무너지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경제를 앞에서 이끄는 대기업마저 위험해질 수 있다. 중소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은 미흡한 사회적 안전망을 보완하는 역할도 한다. 정부도 세제 지원를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상생협력 지원에 나서고 있다.

상생협력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삼성·현대기아자동차·SK·LG·롯데·포스코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금융·기술지원, 이익배분과 성장 지원을 골자로 하는 다양한 상생협력 방안을 내놓고 있다. 지난 수년간 시행해 온 상생협력안을 더욱 강화해 중소협력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특히 올해 대기업들이 내놓은 상생협력 방안은 그간의 1차 협력업체 지원 중심에서 2, 3차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협력사 간 상생이 이뤄지지 않고는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이 실질적인 효과를 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1조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하고 2, 3차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기술인력과 장비지원을 골자로 하는 상생방안을 내놨다. 우수한 협력업체를 발굴해 해외진출도 지원해 준다. 현대·기아자동차 그룹은 주요 원자재를 일괄 구입해 협력업체에 공급하는 제도를 기존 1차 협력업체에서 2, 3차 협력사로 확대한다. 협력사의 품질향상과 기술개발을 위해 연구개발비도 지원한다. LG그룹은 거래 협력사에 대한 직접 대출 규모를 대폭 늘린다. 기업은행과 손잡고 2500억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하는 것을 비롯해 74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한다. 태양전지와 LED 같은 녹색신사업에 대한 중소기업 참여도 확대한다. 포스코는 원가절감액을 협력업체와 나누는 ‘베네핏 셰어링(Benefit Sharing·수익공유제도)’을 기존 1차 협력업체에서 전체 협력업체로 넓힌다.

대기업의 협력사에 대한 지원은 교육·인력양성까지 이어진다. 물고기를 주기보다 물고기를 잡는 방법까지 알려주기 위해서다. SK그룹은 ‘상생 아카데미’를 통해 협력업체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에게 온·오프라인을 통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 내용은 경영 실무에서 인문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SK는 올해 협력사에 대한 교육 지원을 더욱 늘릴 예정이다. LG는 그룹의 교육기관인 인화원에 협력업체 임직원을 위한 교육센터를 마련한다. 자체적으로 교육시설을 운영하기 힘든 중소기업의 인력 양성을 돕기 위해서다.

대기업의 상생협력 전담조직은 더욱 확대되고 늘어날 전망이다. 상생협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다. 포스코는 최근 ‘상생협력 실천 사무국’을 확대하고 사무국장을 부사장급으로 높였다. 지난해말 현재 삼성·현대기아차·SK·LG 등 국내 21개 그룹이 상생협력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글=염태정 기자
일러스트=박용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