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장 이전에 구미시·주민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대구시의 상수도 취수원을 구미로 옮기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구미시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서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해 말 용역을 의뢰한 대구시 상수도 취수원 이전 예비타당성 조사가 이달 중 끝나면 내년 10월까지 실시설계를 거쳐 2014년 말까지 이전작업을 마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낙동강에서 수질 오염사고가 잇따르자 대구시가 국토해양부에 건의해 추진하는 것이다. 시는 현 낙동강 문양·매곡 취수장에서 상류 쪽으로 60㎞ 떨어진 구미시 도개면으로 취수장을 옮길 계획이다. 이곳은 대구 외에도 구미·상주·김천 등 주변 7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광역 상수도 취수장 역할을 하게 된다. 지자체마다 도수 관로를 설치한 뒤 취수한 물을 정수해 수돗물로 사용한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구미 시민이 반발하고 있다. 도개면 주민들은 23일 면사무소 앞에서 주민 5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대구시 상수도 취수원 도개면 이전 반대추진위원회’ 발대식을 열기로 했다.

주민들은 재산권 행사가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도개면은 선산취수장 상류에 위치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하지만 광역상수도 취수장이 들어설 경우 수도법 등 관련법에 따라 더 많은 규제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 광역상수도는 2개 이상 지자체가 이용하는 상수도다. 이렇게 되면 낙동강 주변의 소·돼지 사육 농가가 축사를 철거해야 하고, 집을 새로 짓거나 증축하기도 힘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이성호(48) 반대추진위원장은 “광역상수도 취수원이 들어서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온다”며 “생존권이 걸린 문제인 만큼 계획을 철회할 때까지 반대운동을 펴겠다”고 말했다.

구미시의회도 가세하고 있다. 시의회는 최근 취수원 구미 이전 반대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다음달 1일 정례회에서는 취수원 이전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기로 했다.

구미시도 취수원 이전 범시민 반대추진위를 구성할 방침이다.

취수원 이전이 구미지역 경제와 생태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도개면에 취수장이 설치되면 25㎞ 가량 하류에 있는 구미시 공업용수 취수장의 수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수량이 감소하면 오염도가 올라가고, 구미공단 2200여 입주업체가 정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가 구미공단 하류에 위치해 언제든지 환경오염 사고가 날 수 있다”며 “대구뿐 아니라 구미 등 주변 지역 주민들이 깨끗한 물을 마시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