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 입장료 징수-민속박물관 조성 양평군-용문사 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경기도 양평군과 용문사측이 관광지 입장료 징수방법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또 군이 관광지 내에 향토민속박물관 조성을 추진하자 사찰측이 제동을 걸고 있다.

◇입장료 논란=20일 군과 용문사측에 따르면 용문산관광지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은 용문사 내에 있는 문화재 관람 여부와 무관하게 문화재 관람비가 포함된 입장료를 내야 한다.

군은 이같은 입장료 통합징수 방법이 지난해 10월 감사원 감사 결과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을 받자 용문사측에 문화재 관람을 원하는 관광객에게만 별도의 관람비를 받을 수 있도록 매표소를 분리해 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찰측은 1년이 지난 지금까지 군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용문사측은 "전국의 관광지와 국립공원 등에서도 용문산관광지와 마찬가지로 입장료를 징수하고 있는 만큼 이 문제는 종단과 정부간에 논의해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건축양식 갈등=군은 관광활성화를 위해 관광단지 내에 64억7천여만원을 들여 지하 1층·지상 2층·연면적 7백70평 규모의 향토민속박물관을 내년 6월 말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그러나 용문사측은 "천년 고찰의 일주문과 불과 1백여m 떨어진 곳에 현대식 건축양식의 박물관을 신축하는 것은 안된다"고 반대하고 있다. 용문사측은 지난달 23일부터 공사현장 입구에 컨테이너 박스를 설치, 공사를 막고있다.

군은 "이미 공정이 30%나 진행돼 건축외벽의 경우 전통미를 가미한 친환경적인 양식으로 변경은 가능하지만 완전 전통양식으로 건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