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정책 세일즈 "장사되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시민단체가 제시하는 정책들이 속속 대선 후보들의 공약으로 채택되면서 시민단체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2000년 총선 당시 총선연대의 간부들이 네거티브 선거전략인 낙천·낙선운동을 벌여 사법처리되는 등 부작용이 생겼던 데 비해 진일보한 시민운동 방식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60여 시민·사회·종교단체로 구성된 '자랑스런 나라 만들기 운동'은 16일 한나라당·민주당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자랑스런 나라 공약 발표회'를 가졌다.

이 단체는 이 자리에서 한나라·민주 양당 후보 진영에 ▶가난한 나라와 동포 돕기▶외국인 근로자·중국동포 돕기▶장애인 돕기▶불우이웃 돕기 등 4개 분야의 26개 세부 정책을 공약으로 채택할 것을 요청했고 두 후보측은 이를 받아들였다.

지난 15일 4백여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대선유권자연대는 "우리가 제시한 1백13개 정책권고안 중 31개를 이회창·노무현·권영길 후보 등이 공약으로 채택했다"고 밝혔다. 유권자연대 하승창 사무처장은 "성매매 방지법이나 지방분권특별법 제정 등이 원래 공약에는 없다가 시민단체의 요구로 추가된 좋은 예"라고 말했다.

남궁욱 기자

periodista@joongang. co. 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