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든 컴퓨터 접속 5년내 u코리아 구축" <유비쿼터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사이버코리아와 e코리아를 이을 새 국가정보화전략으로 세계 최초로 유비쿼터스 코리아(uKorea)를 구축하자는 구상이 제기됐다.

정보통신부 장·차관과 12개 통신사업자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6,7일 제주 서귀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회 통신사업자 CEO포럼'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성국 기술경영연구소장은 오는 2007년까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반을 구축, 세계적인 지식허브국가를 건설하자는 'u코리아 기본 구상안'을 발표했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네트워크'는 유·무선을 가리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하자는 것으로 지난 99년과 2002년 각각 국가정보화 기본전략으로 채택된 '사이버코리아21'과 'e코리아' 비전을 한차례 더 업그레이드하자는 의미다.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의 'u코리아 전략위원회'와 'u코리아 전략 전담사무국'을 설치하고 'u정부'와 'u국토'를 구축하자는 방안도 제안됐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 KTF 이경준 사장과 LG텔레콤 남용 사장은 이동전화 후발사업자들을 위해 이동전화 식별번호를 공동 사용하고 가입자가 적을수록 원가가 불리하게 작용되는 접속료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조정남 부회장은 "011이라는 번호가 지니는 브랜드 파워는 번호 자체가 좋아서 생긴 것이 아니라 막대한 마케팅 비용 등 많은 노력을 한 결과"라며 이에 반발했다.

또 하나로통신 이인행 대표는 "KT가 시내망을 당초 약속한대로 경쟁사업자들에 원활하게 개방하지 않는다"며 정통부에 제도개선을 요구했다. 한편 KT 이용경 사장은 "선발사업자라는 이유로 신규 사업 진출을 막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정통부는 이날 포럼에서 발표된 중장기 통신정책 방향과 토론내용을 검토해 내년 1월 앞으로 5년 동안 정부가 추진할 통신정책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서귀포=하지윤 기자

hj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