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협력사 지원 … 1조원 상생펀드 조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삼성전자가 1조원 규모의 협력업체 지원 펀드를 조성한다. 또 주요 원자재를 대량 구매해 협력사에 제공하는 ‘사급(賜給)제도’를 도입한다. 이 회사는 16일 이런 내용의 ‘상생경영 7대 실천방안’을 발표했다. 박종서 상생협력센터장(전무)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의 상생 활동이 1차 협력사에 집중되고 1차 협력업체와 거래하는 2, 3차 협력업체에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2, 3차 협력업체 지원을 위해 기업은행과 공동으로 최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이 돈은 협력업체의 설비투자·기술개발·운영자금 등 기업경영 전반의 소요자금을 빌려주는 데 쓰인다.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술·품질·거래규모 등 일정 자격을 갖춘 2, 3차 협력사를 1차 협력사로 전환하기로 했다. 1차 협력사와 연간 5억원 이상 거래하는 업체로 사업부별로 심사해 결정한다. 조성래 상무는 “거래대금을 전액 현금 결제받는 1차 협력업체의 이점은 물론 대외 거래 때 신인도를 높이는 부수적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또 1차 협력사가 2, 3차 협력사와 거래하면서 물품 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경우 협력업체 평가에서 가점을 주고, 크고 작은 협력사들끼리 공정거래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사이버 신문고’ 제도를 운영하기로 했다. 박 센터장은 “1차 협력업체에 대한 현금 결제를 2005년부터 시행해 왔지만 이런 관행이 1차와 2, 3차 협력사 간 거래에까지 파급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특히 원자재값 변동을 부품단가에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주요 원자재를 직접 구매해 협력사에 적정가에 판매하는 사급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냉장고·세탁기·에어컨·LCD(액정화면) TV 등 대형 가전에 쓰이는 철판·레진(수지)·구리 3대 품목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이 밖에 삼성전자는 1차 협력사 대상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2차 협력사로 확대하고, 최우수 협력사를 ‘베스트 컴퍼니’ 로 지정하는 등 2015년까지 글로벌 수준의 협력업체를 50개까지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여기에 들려면 삼성전자와 연간 거래 규모가 3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또 거래업체가 아니라도 신기술 등 핵심 역량을 보유한 곳은 거래를 쉽사리 틀 수 있게 ‘임시 등록제’를 새로 만들 계획이다.

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