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2044년까지 연장 추진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인천시 서구 백석동에 있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의 매립기간을 연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인천 서구 주민들은 매립기간 연장은 20여 년 가까이 환경피해를 본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입장이다. 전체 면적 2000만㎡로 동양 최대 규모의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에는 1992년부터 서울·경기·인천지역에서 하루 2만5000t의 쓰레기가 매립되고 있으며 2016년 중단되는 것으로 돼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8일 환경부·서울시·경기도·인천시와 매립기간 연장을 포함한 ‘수도권매립지 환경명소 브랜드화’를 위한 협정체결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매립지를 둘러싼 기관·지자체 간의 갈등과 현안들을 일괄적으로 정리하고 매립 현장의 친환경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수도권매립지 부지는 서울시가 70%, 환경부가 30%를 소유하고 있으며 인천시는 매립이 완료된 부지에 2014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문제는 협정서 초안에 서울시와 환경부는 아시안게임 경기장 부지 제공에 협조하되 매립기간을 현행 2016년에서 2044년으로 늘리는 방안이 포함되면서 비롯됐다. 지역 주민들은 “매립기간 연장은 쓰레기 매립을 영구화하려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용식 서구발전협의회장은 “그간 막대한 환경피해를 참고 살았는데 자기 동네의 쓰레기 매립행위를 영구화한다면 좋아할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일부 주민은 “인천시가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을 대가로 매립기간 연장에 동의하려는 것 아니냐”며 인천시를 비난했다. 서구 주민들은 9일 오전 매립지관리공사 정문에서 매립연장 반대 집회를 열 예정이다.

매립지관리공사 측은 분리 수거 등 그동안의 쓰레기 감량화 정책이 성과를 내 현재까지 당초 예상보다 절반밖에 매립되지 않았으므로 매립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환경명소 브랜드화를 위한 협정 체결에 대해서도 주민대표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주민 지원 및 협력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