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남북경협 참여는 부적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18일 경실련이 주최한 정몽준(鄭夢準)의원 초청 토론회에서는 현대그룹과 관련한 질문이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교수와 변호사로 구성된 패널들은 "과거 정경유착으로 수혜받은 재벌의 경영자 출신으로 어떤 책임을 느끼느냐"는 질문에서부터 공적자금 투입을 비롯한 현 정부의 현대 지원에 대한 평가,현대 관련회사 주식 보유 현황 등을 캐물었다.

"현대 관련 질문이 이렇게 많이 나올 줄 알았으면 어제 현대 사람들과 공부라도 하는 건데"라며 답변에 나선 鄭의원은 공격적으로 받아쳤다.그는 패널들에게 "사실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질문은 공평하지 않다"고 반박하거나 "가정을 한 질문인데 교수님은 이 건물이 당장 무너진다면 어떻게 하겠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鄭의원은 "우리나라의 적정 경제성장률은 6% 수준이며 이같은 목표치를 달성해가면서 국내총생산(GDP)의 1%에 머물고 있는 복지예산을 장기적으로 5%까지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는 "정부가 목욕비나 이자율·환율 등 특정 제품의 가격을 통제하는 것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가장 극단적인 정부 개입"이라며 "자본주의를 제대로 이해했다면 빅딜 같은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현대는 정경유착의 혜택을 받은 재벌인데.

"국민들이 재벌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진 것은 알고 있다. 그렇지만 재벌은 우리 사회에 피해도 줬겠지만 신생독립국으로서 선진국에 종속되지 않는 경제능력을 갖게 한 역할도 컸다."

-현대가 현 정부 아래서 남북경제협력에 참여한 것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지 않은 것 아닌가.

"지당한 말이다."

-현 정부의 현대 지원도 정경유착이 아닌가.

"그렇게 안할 경우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됐을 것이다."

-재벌2세는 증여받을 때 탈세했을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누군가 탈세했다면 국가경영을 맡을 수 있다고 보나.

"가정하는 질문은 공평하지 않다. 사실을 확인해 질문해 달라. 답변하자면 납세의무는 병역과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 문제로서 위반한 사람은 지도자가 될 수 없다."

-기업경영과 국가경영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국회에는 경제를 아는 분들이 많지 않다. 경제와 경영을 이해하는 사람은 국가경영도 잘 할 수 있다고 본다."

김성탁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