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지침 3회이상 어기면 폐간 경고" 中정부 언론 더 옥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오는 11월 제16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16大)를 앞두고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금지하는 '보도지침'을 내렸던 중국 공산당의 언론 단속이 최근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15일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는 당 선전부가 최근 보도지침을 세차례 이상 위반한 언론사에 폐간 경고를 내리는 '삼진아웃제'를 도입하고 주요 언론사 편집국장을 직접 임명하는 등 통제 강도를 한층 높였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중국 언론들은 지난 14일 발생한 난징 독극물 참사를 축소보도하거나 아예 취급하지 않았다. 관영 신화(新華)통신도 사건발생 직후 사망자 수를 41명으로 축소보도했다가 몇시간 뒤부터는 사망자 수를 언급하지 않은 채 '피해자 다수'라고만 전했다. 반면 홍콩 언론들은 사망자 수(1백명)를 명시했다.

이에 앞서 딩관건(丁關根)당 선전부장은 지난 8월 인민일보 등 주요 언론사 편집진에 ▶당지도부 교체설▶농촌 세제개편▶산업재해▶빈부격차 현상▶개고기 먹는 풍습▶칼부림 등 엽기성 사건을 '국가안정 저해 뉴스'로 분류한 뒤 이를 보도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는 상당폭의 권력변동이 예상되는 16大를 앞두고 당지도부가 자신들에게 불리한 여론이 조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취한 조치"라고 풀이하고 "1990년대 들어 정부의 대언론 보조금이 줄어들고 신설 매체가 급증하면서 비판보도가 늘어난 것도 중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언론통제에 나선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그러나 중국 언론환경이 갈수록 시장중심적으로 변하고 있고, 예비기자군(대학생)의 의식도 자유화하고 있기 때문에 단속은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