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이한동에 주도권 뺏길 우려 脫黨 감수 정면돌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칼을 빼들었다.

반(反)노무현·비(非)노무현 세력에 이어 중도파까지 단계적 탈당카드로 압박해 오는 최악의 상황에서다.

이날 盧후보가 내보인 카드는 초강경 대응책이다. 기자간담회에서 盧후보가 밝힌 재경선 불가 방침은 후보지위 확정 선언이나 다를 바 없다. 중도파가 요구하는 통합신당 창당→후보단일화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다.

나아가 盧후보는 중도파를 달래기보다 이들의 주장을 '패배주의' 내지 자신을 흔들기 위한 '음모적' 성격으로 규정했다."(통합신당 창당 후)국민경선을 하자는 것은 거짓말"이라는 것이다.

盧후보가 반대파를 극단적으로 자극하고, 탈당 움직임에 명분을 줄 가능성이 큰 발언을 서슴지 않은 것은 더 이상 밀리다간 정국의 주도권을 당 바깥의 정몽준·이한동 의원 등에게 넘겨줄지 모른다는 위기의식 때문으로 보인다. 盧후보 측은 민주당의 상황에 대해 "후보를 흔들다 못해 조롱하고 있다"(鄭東采비서실장)면서 울분을 내비치고 있다. 중도파가 등을 돌리면서 이젠 세(勢)싸움에서도 밀리는 형국이다. 한 측근 의원은 "솔직히 우리 쪽이 당내 과반수 확보에 실패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盧후보 측은 중도파 의원 상당수가 이미 정몽준 의원 쪽과 교감했고, 그쪽에 합류할 것으로 마음을 굳혔다고 보고 있다. 결국 일부의 이탈로 인한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더 이상 밀리진 않겠다는 게 盧후보 측의 결론인 것 같다.

盧후보는 18일 선대위를 정식 출범시키면서 공동선대위원장에 정대철(鄭大哲)최고위원을 임명하고, 앞으로 이수성(李壽成)전 총리·변형윤(邊衡尹)서울대 명예교수를 영입하는 데 공을 들일 작정이다. 또 재정권도 틀어쥘 방침이다. 그는 이날 재정권은 당 대표가 아닌 선대위에 귀속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권경쟁 때문에 선대위가 타격을 받아선 안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이날 盧후보는 "한화갑(韓和甲)대표와 조율하겠다"면서 "韓대표와는 기본적 목표가 같다"고 신뢰를 강조했지만 두 사람 간의 갈등소지는 매우 커졌다. 盧후보가 위기상황에서 던진 승부수가 민주당에 어떤 변화를 만들어낼지 주목된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