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유발 독성 분해하는 새 효소 발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키는 독성물질을 사실상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효소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미국·일본 등에서 유사한 효소들을 찾아낸 바 있으나 이 효소는 그 기능이 더 뛰어나다는 평가다. 상용화될 경우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22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생명의과학센터 안상미 박사팀은 최근 ‘글루타메이트 카르복시펩티데이즈(GCPII)’라는 효소가 뇌에 작용하는 독성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이하 아밀로이드)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밀로이드는 뇌에 쌓이면 신경세포를 손상시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국내 치매환자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단 발병하면 계속 진행되는 데다 근본적인 치료법도 없어 수명을 단축시킨다.

연구팀은 GCPII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쥐를 이용한 실험을 했다. 우선 치매를 앓고 있는 쥐에게 1개월간 GCPII의 활성을 막는 약제를 투여했다.

그 결과 쥐의 뇌 속에 아밀로이드 양이 증가했다. 이어 아밀로이드가 복잡하게 엉켜 있는 것에 해당 효소를 적용했더니 아밀로이드 양이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이 효소를 치료제로 상용화하는 데는 숙제가 적지 않다. 연구팀의 안상미 박사는 “효소는 분자가 큰 탓에 직접 생체에 투여하기 어렵다”며 “신약개발을 위해선 우선 이 문제를 풀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실험생물학계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지인 ‘파셉저널(FASEB Journal)’에 게재될 예정이다.

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