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심에 두'유령빌딩' 옛 한일·상업銀 본점 3년째 빈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9면

서울 한복판의 대형 빌딩 두 채가 3년째 '유령건물'로 남아 있다. 중구 남대문로 옛 한일은행 본점과 옛 상업은행 본점 건물. 외환위기 당시의 은행 합병과 금융기관 구조조정 과정에서 서둘러 진행한 자산매각의 부작용으로 멀쩡한 빌딩을 놀려 수백억원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 것이다.

◇유령화한 옛 한일은행 본점=한일·상업은행이 합병한 한빛은행(현 우리은행)은 1999년 11월 부동산개발업체인 SGS컨테크에 이 건물을 1천2백10억원에 팔았다. SGS컨테크는 일본문화 중심의 테마빌딩으로 꾸미려는 계획을 마련했다. 계약금·중도금 1백81억원을 내고 현대건설에는 지급보증을 얻어내며 시공권을 줬다.

그러나 2000년 한빛은행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잔금대출을 해줄 수 없다"고 통보하고 현대건설도 유동성 위기에 몰려 지급보증에서 발을 뺐다. 이로 인해 SGS가 중도금을 못 내자 한빛은행은 매매계약해지 및 명도소송을 내 1심에서 승소했다.

이런 가운데 알짜배기 부동산은 자리 값을 못한 채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다. 지상 21층에 연면적만 1만3천1백68평.일대 사무실 임대료는 평당 9백만원(전세 기준)에 육박한다. 월세로는 매달 10억원에 가까운 돈이 사라진 것이다. 게다가 SGS컨테크가 부담한 관리비만 월 3천만원에 이른다. 옛 한일은행이 빌딩을 비운 99년 12월 이후 3백50억여원이 날아간 셈이다.

우리은행은 대법원에서 확정판결을 받아낸 뒤 입찰로 다시 팔 계획이다. SGS컨테크는 은행 처사에 불만이 많다. 왜 지키지도 못할 '잔금 80% 대출'약속을 했느냐는 것이다.이에 대해 우리은행 관계자는 "잔금지급 기일이 1년반이나 지나 연체이자만 해도 위약금보다 훨씬 많은 3백40억원이나 된다"며 "이미 법률적으로 잘잘못이 판단된 사안"이라고 말했다.

◇상업은행 건물도 덩달아 피해=인근 옛 상업은행(연면적 4천5백평)건물도 피해를 보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이 빌딩을 함께 매입한 SGS컨테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아파트로 만드는 리모델링을 시작했지만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자금난으로 빠져 나가고 분양도 잘 안돼 지난해 1월 공사를 중단했다. 회사는 한일은행 빌딩을 팔아 남는 돈으로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었으나 이마저 어렵게 됐다. SGS컨테크 이재학 팀장은 "상업은행 건물은 싱가포르 투자회사와 매매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황성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