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상류 하수처리장 대폭 늘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지난해 10월 완공된 금강 상류 용담댐에는 전북 무주·진안·장수군에서 발생한 하루 1만4천여t의 생활하수가 거의 걸러지지 않은 채 거의 그대로 유입되고 있다.

이 지역에는 소규모 마을하수도 몇 곳만 있을 뿐 대규모 하수처리장이 없어 하수도 보급률이 3.4%에 불과하다.

주요 상수원인 전국 15개 다목적댐 상류의 평균 하수도 보급률이 27%로 전국 평균인 72%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하수도 보급률은 부(富)영양화와 녹조를 발생시켜 댐의 수질을 나쁘게 한다.

하수도 보급률이란 전체 인구 가운데 하수처리구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이다.

2000년 10월부터 물을 가두기 시작한 경남의 밀양댐 상류 지역 역시 하수처리장이 한곳 없어 하루 2천8백t의 오수가 댐으로 들어오고 있다.

부안댐·섬진강댐·임하댐 등의 상류지역에서도 하수도 보급률이 0.8~1.8%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05년까지 모두 3천8백억원을 투자해 15개 다목적댐 상류에 하수처리장 54곳을 추가로 건설, 하수도 보급률을 48%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환경부는 특히 흩어져 있는 하수처리시설에 인력을 제각각 배치하기보다 무인 자동화 방식을 채택해 통합운영센터에서 원격제어함으로써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할 방침이다.

또 시공에서 운영·관리까지 책임 소재를 일원화하기 위해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우선 내년 10월에 준공 예정인 탐진댐 상류지역에 이같은 사업을 적용한 뒤 용담댐·남강댐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다목적댐 상류에는 소규모 마을이 흩어져 있어 하수도 연결이 어렵고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운영·관리가 어렵다며 하수처리장 설치에 소극적"이라면서 "민자유치와 양여금 추가 지원 등을 통해 지방비 부담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앞으로 댐 완공 이전에 상류지역에 필요한 하수처리시설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댐건설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하수도 정비 기본계획도 이에 맞춰 바꾸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의 하수도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