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 400년 전 일본에 조선인 성당 나가사키서 봉헌 기념 미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1610년 조선인들이 일본에 천주교 성당을 세운 것을 기념하는 미사가 나가사키(長崎)에서 열린다.

5일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에 따르면 다카미 미쓰아키(高見三明) 대주교는 내달 10일 오후 1시 나가사카시 나카마치(中町) 성당에서 성 라우렌시오 성당 봉헌 400주년 기념 미사를 집전할 예정이다. 성 라우렌시오 성당은 임진왜란 때 일본 규슈(九州) 지방으로 끌려간 조선인 포로들이 1610년 나가사키에 세운 성당이다. 당시 예수회 선교사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인 포로 1300여 명이 세례를 받았고, 이들은 돈을 모아 토지를 구입한 뒤 나가사키에 유럽 천주교 순교자인 ‘성 라우렌시오 부제’의 이름을 따 성당을 건립했다. 당시 세르게이라 주교가 성전 봉헌식을 거행했다.

한국에 천주교가 전래된 것은 올해로 226년째. 1784년 이승훈이 중국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으면서 한국 천주교의 역사가 시작됐다. 그보다 170여 년 전에 일본에서 조선인들이 성당을 만든 것이다. 성 라우렌시오 성당은 1620년 에도(江戶)막부의 천주교 탄압으로 해체됐다. 에도막부는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했는데, 당시 처형돼 성인에 오른 신자는 26위. 성인 직전의 복자품위에 올라있는 205위 중 15위가 조선인이다.

잊혀졌던 이 성당의 존재를 밝혀낸 것은 재일동포 2세인 조건치(66)씨다. 조씨는 예수회 선교사가 유럽으로 보낸 보고서에 성 라우렌시오 성당에 관한 기록이 담겨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1985년 번역본을 입수해 한국과 일본 천주교계에 알렸다. 조씨는 “현재 성 라우렌시오 성당이 있었던 곳을 찾고 있는데 이전에 신고라이마치(新高麗町)로 불린 나가사키시 이세마치(伊勢町)의 이세노미야(伊勢宮)신사 자리에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며 “라우렌시오 성당의 역사를 확인하는 일은 재일한국인 천주교 역사뿐만 아니라 한국 천주교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 천주교에서도 이 미사에 대표를 파견할 예정이다.

도쿄=박소영 특파원, 서울=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