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후보,유권자정책성향설문조사> '주민소환제' 유권자 70%·후보 74%가 찬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중앙일보는 6·13 지방선거에 출마한 광역단체장과 유권자들의 정책성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했다. 이같은 기획은 유권자들이 자신과 정책선호가 비슷한 후보가 누구인가를 알고,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후보들에게는 정책을 소개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했다. 중앙일보는 선거기간 중 지역별로 후보와 유권자들의 정책선택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다.

지방선거 유권자 네명 중 세명(72.5%)은 수돗물을 안심하고 마실 수 있게 된다면 지금보다 수도요금을 더 내겠다고 답했다. 후보들도 대부분 이같은 의사를 밝혀 민선 지자체 3기 출범 이후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공감대는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정책별 선호도=생수를 따로 사먹지 않을 정도로 수질을 개선한다면 유권자들은 지금보다 월평균 5천1백51원(4인가족 기준) 정도는 더 낼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현재 4인가족 기준 월평균 수돗물값 9천3백원의 55% 추가부담을 감내할 용의가 있다는 것이다. 추가부담하지 않겠다는 응답자도 20.8%에 달했다.

조사결과는 학력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중졸 이하가 평균 3천2백18원을 추가부담할 용의가 있다고 한 반면, 고졸은 4천9백93원, 대학재학 이상은 6천2백74원을 적어냈다.

학력이 높을수록 더 많이 부담할 용의를 표시한 것이다. 이는 소득수준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의 일자리를 늘리는 방식에 대해 0(지자체 직접 개입)~10(민간기업 위임) 척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후보들은 5.4였으나 유권자들은 4.2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후보들이 '민간에 예산만 지원하고 일자리는 기업이 만드는 방식'을 선호했다면, 유권자들은 '자치단체가 민간기업과 합작으로 기업이나 공장을 세워 일자리를 창출하는 형태'를 더 요구한다는 것이다.

예산 1백억원을 놓고 '경제활성화'와 '사회복지 확대' 두 분야에 어떻게 배분하겠느냐는 질문에 후보들은 평균적으로 경제활성화에 54억8천만원,사회복지분야에 45억2천만원을 쓰겠다고 응답해 다소 경제중심적인 정책성향을 보였다. 유권자들도 경제에 52억9천만원을, 사회복지에 47억1천만원이 지출돼야 한다고 말해 비슷한 양상이었다.

◇정책 우선순위=실업해소·경제개발·복지·환경·여성·국제화·정보화·부패방지·교육·문화 등 10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정책 두개를 골라달라는 질문에 후보들은 복지(64.8%)와 경제개발(59.3%)을 압도적으로 꼽았다. 유권자들도 경제개발(37.3%)과 복지(33.6%)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긴 했지만 편중도는 후보들보다 훨씬 낮았다. 유권자들은 상대적으로 실업해소(32.1%)·환경(25.2%)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했으며,교육(24.1%)과 부패방지(23.6%)도 중요정책으로 꼽았다.

◇후보 선택기준=투표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유권자들은 경력(38%)을 최우선시 했다.다음으로 공약(36.3%)·소속 정당(15.6%)·출신지(10.1%)의 순이었다.

학력이 높아질수록 공약의 비중이 높아진 반면(대재 이상 40.4%,고졸 35.3%,중졸 이하 29.7%),학력이 낮을수록 경력의 비중이 높아졌다(대재 이상 35.6%,고졸 39.0%,중졸 이하 40.9%).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