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 경비 11조… 교통 처리도 문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청계천 복원은 '뜨거운 감자'다. "청계천 복원으로 강북을 재개발하겠다"는 이명박(한나라)후보의 주장에 김민석 후보(민주당)는 "교통대책 없는 뜬구름 잡기"라고 맞받아 친다. 이문옥(민노당)·원용수(사회당)·임삼진(녹색평화당) 등 군소정당 후보들도 청계천 복원에는 찬성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복원까지는 교통 처리와 기존 상권의 반발이란 암초가 놓여 있다.

◇교통문제=하루 12만대의 차량이 다니는 청계고가를 철거하면 도심의 차량 속도가 떨어지고 발생되는 교통 혼잡 비용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金후보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대비책을 마련한 뒤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한나라당 후보는 "수변 위에 왕복 4~6차로 도로를 조성하면 교통난이 생기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재원 마련=청계천 복원에는 큰 돈이 든다. 청계고가와 복개도로를 뜯어낸 뒤 개천에 물이 흐르게 하고 개천 양변에 왕복 6차로를 건설하는 데 3천6백억원이 소요된다. 또 청계천 일대를 고층빌딩 등으로 완전히 뜯어고치려면 약 11조원이 들어간다. 서울시 1년 예산과 맞먹는 규모다. 이에 대해 후보측은 "청계천 일대를 투자촉진지구로 특별 지정해 외국 투자자 등으로부터 11조원을 민자유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상인 반발=청계천 일대에서 생계를 잇는 상인은 수만명에 달한다.이들의 대부분이 '청계천 복원'에 반대하고 있다.

공사가 끝날 때까지 몇년 동안 제대로 영업을 할 수 없는 데다, 복원 후에는 아예 일터가 사라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인들의 동의를 얼마나 끌어낼지도 숙제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