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보이는 黨 간판 바꾸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당명(黨名)을 바꾸는 문제와 김홍일 의원의 의원직 사퇴가 민주당 내부에서 공론화하고 있다. 민주당의 절박한 위기감은 김대중 대통령 주변 인물들의 비리 연루 의혹으로 인한 민심 이반에서 비롯한다. 특히 두 아들의 사법처리 가능성이 커지면서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고 있다. 여기에 金대통령과 민주당을 동일시하는 시각은 여전하고 노무현 후보의 지지도가 덩달아 하락하니 당명 교체 논의가 나오는 모양이다. 그런 심사를 헤아리지 못할 바 아니다.

하지만 이런 면피식 자세는 정도가 아니다. 이름을 바꾼다고 얼마나 효험을 볼지도 의문이다. 오히려 약삭빠른 위기모면용 대증요법을 추구하다간 여론의 역풍이나 초래할지 모른다. 후보가 "깜짝 쇼처럼 당명을 바꾸지 않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점을 감안한 판단일 것이다. 민주당으로선 얄팍한 술수로 대응하기보다 '홍3 의혹' 등에 대한 엄정한 수사와 처리를 지원하면서 새로운 각오와 정책 제시를 통해 지지를 추구하는 당당함을 지켜야 한다.

金의원 문제 처리도 기본은 마찬가지다. 金의원의 경우 각종 권력형 비리에 단골로 등장했고 요즘은 '홍3'이라는 집합적 의혹대상으로 거명되지만 아직 증거가 뒷받침된 게 없다. 본인의 유죄가 밝혀진 바도 없는, 유권자가 선출한 헌법기관에 대해 사퇴하라 말라 하는 것은 사리에 안맞는 연좌제 발상이다. 대통령 장남 의원이라고 높이 떠받들 때는 언제고 세가 불리하니 사퇴하라면 공당(公黨)으로서 자세가 너무 천박하지 않은가.

아무리 권력무상이라지만 공당으로서 취할 게 있고 못할 일이 있다. 간판 바꾸기에 불과한 신장개업 흉내로 표를 모으려 해선 안된다. 도마뱀 꼬리 자르기식으로 미운 오리새끼를 버린다고 사태가 개선될 게 없다. 민주당은 공당으로서 정정당당하게 제대로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떳떳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