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도착 中항공기 승객 '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중국 여객기 추락사고 여파로 국내 항공사와 지방 공항·여행업계 사이에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중국 여객기와 국내 지방공항에 대한 안전성을 불신하는 분위기가 일면서 중국 항공기 의존도가 높은 지방공항은 이용자가 뚝 끊어진 반면 인천공항 이용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항공사는 때 아닌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특히 중국~국내 지방공항을 잇는 직항노선의 승객 격감과 맞물려 개설을 코앞에 두고 있는 신설 노선이 무산위기를 맞고 있다. 월드컵 특수를 노렸던 지방여행업계와 지자체들도 비상이 걸렸다.

◇중국 여객기 기피=지난 3일 개항한 양양공항의 경우 17일 오후 2시40분쯤 도착한 중국 동방항공 소속 상하이발 A320기종(1백56인승)여객기에 승객은 단 한명도 없고 기장과 부기장 등 승무원 11명만 타고 있었다.

이날 첫 취항한 이 항공편은 당초 양양공항에 도착하는 33명의 단체 관광객 등 68명의 승객이 예약돼 있었다.

17일 낮 12시10분 광주공항에 도착한 중국 동방항공 소속 상하이~광주 노선 여객기도 탑승객이 27명에 불과했다. 김해공항 사고가 난 지난 15일에도 1백14명이 탑승하는 등 평소에는 승객이 1백명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었다.

◇국내 항공사 호황=대한항공의 경우 사고 전날인 14일 78% 수준이던 중국노선 전체 예약률(4월 17~30일 출발)이 16일에는 82%로 올라갔다.특히 이번에 사고를 낸 중국국제항공과 경쟁하고 있는 인천~칭다오 노선의 경우 이틀 사이에 14%포인트나 예약률이 증가했다.

아시아나도 중국 노선의 탑승률이 지난 14일 77.3%,15일 77.9%에서 16일 80.5%, 17일 87.0% 등으로 계속 높아지고 있다.

◇월드컵 특수 차질=월드컵 경기를 앞두고 중국 관광객이 들어올 노선 신설에 차질이 예상된다. 동방항공은 다음달부터 상하이~청주~양양국제공항에 주 3회 여객기를 운항할 예정이나 중국 당국이 운항허가를 내주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광주시 역시 다음달에 예정된 중국 국제항공공사의 광주~베이징 노선과 북방항공사의 광주~선양 노선 전세기 투입 계획이 취소될까 걱정하고 있다.

대구시도 다음달 예정인 대구~베이징 노선(대한항공·중국국제항공)개설이 물건너가지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전국부·산업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