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세아들·박지원·아태재단·진념… 총력전 펼치는 野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은 16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세 아들을 겨냥한 압박을 더욱 강화했다.

이날 오전 국회에 특검 법안을 제출하고, 오후엔 10개 상임위별로 선정할 증인 명단을 내놨다. 전날 의원·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선언한 "DJ정권 퇴진"을 구체적으로 밀어붙이는 후속타다.

특검 법안엔 김홍일(金弘一)·홍업(弘業)·홍걸(弘傑)씨 등 DJ의 세 아들에게 한명씩의 전담 특별검사를 임명해 각종 의혹사건을 수사토록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상임위에서 채택을 추진 중인 증인으론 '3弘' 외에도 박지원(朴智元)청와대 비서실장·전윤철(田允喆)경제부총리 등 정부기관의 핵심 인물들이 망라돼 있다. 특검 법안이 민주당과 자민련의 반대로 국회의 관문을 통과하지 못할 것에 대비해 이처럼 증인채택을 추진하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3弘'의 비리 의혹을 대선정국의 핵심 정치쟁점으로 삼을 방침이다.'노풍'(風·노무현 지지 바람)에 맞대응하는 재료로 삼겠다는 것이다. 한 당직자는 "DJ의 세 아들 비리 의혹이 당과 이회창(會昌)전 총재의 지지율을 올려줄 지렛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문수(金文洙)사무부총장은 대여(對與) 강공 전략이 여론의 호응을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랜만에 야당답다고 격려하는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이제 우회하는 일은 없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중국 여객기 추락 참사가 발생함에 따라 오는 19일로 잡은 서울 여의도공원 규탄대회를 26일로 연기했지만 대여 공세의 고삐는 더욱 죄었다. 당직자들은 최규선(崔圭先)게이트,아태평화재단 비리, 조풍언(趙豊彦)씨의 무기도입 개입 의혹 등을 한꺼번에 도마 위에 올려 "이 정권은 총체적 비리의 집합소"라고 난타했다.

주요 당직자회의에선 경찰청 특수수사과장 최성규(崔成奎)총경의 홍콩 도주를 '기획도피'로 규정하고 청와대를 배후로 지목하는 주장도 나왔다.

이재오(在五)총무는 "崔총경의 도망은 증거인멸을 위한 것으로 대통령 아들들의 비리를 조사하지 않겠다는 의도"라며 "도피사건의 배후에 청와대가 있는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남경필(南景弼)대변인도 "정현준·진승현·이용호·윤태식·최규선 등 5대 게이트 핵심인물 15명이 도피한 전례처럼 이번에도 도피 지원 내지 도피 방조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경찰청장·검찰총장·행자부장관 등은 도피 방조자와 책임자를 찾아내 문책하고 자신들도 지휘감독 부실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바야흐로 한나라당의 대여 총력전이 펼쳐지는 양상이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