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尹씨 커넥션' 문 열리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패스21 대주주 윤태식(尹泰植)씨의 국가정보원 로비 창구였다는 의혹을 받아온 전 국정원 서기관 김종호(金鍾浩)씨가 검찰에 자수함에 따라 베일에 싸여 있던 국정원의 尹씨 비호 의혹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검찰은 지금까지 尹씨의 정·관계 로비 의혹과 관련, 김영렬(金永烈)전 서울경제신문 사장과 김현규(金鉉圭)전 의원, 공무원과 언론인, 금융계 인사 17명을 구속했지만 국정원의 尹씨 비호 의혹은 명쾌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검찰이 金씨를 상대로 해결해야 할 의혹은 크게 두 가지다.우선 尹씨가 金씨를 통해 국정원으로부터 지문인식 기술 개발과 관련한 각종 지원을 받았는지다.

지난해 검찰 수사 결과 패스21의 가·차명 주주 명부에서 국정원 직원 이름이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검찰은 당초 金씨가 경제 정보를 총괄하는 경제단 소속이 아니라 대공수사국에 오래 근무한 점 등을 들어 국정원 로비 창구로 보기는 어렵다는 쪽에 무게를 뒀다.

그러나 이날 검찰은 金씨가 '바이오패스 부회장'과 '패스21 부회장'이라는 명함을 사용했으며 지난해 尹씨에게서 현금과 법인카드, 승용차 등 1억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사실을 밝혀냈다.

두번째는 국가안전기획부가 1987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尹씨를 보호하면서 수지 金 살해 사건을 은폐했는지를 밝혀내는 일이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이무영(茂永)전 경찰청장과 김승일(金承一)전 국정원 대공수사국장을 경찰의 수지 金 살해 사건 수사 중단에 개입한 혐의로 구속했다.

金씨는 87년 이후 尹씨의 동향을 파악하는 업무를 담당한 만큼 金씨를 상대로 역대 안기부와 국정원 간부들이 수지 金 사건을 어떻게 취급해 왔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