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부정 수사 전국 확대] 수험생·네티즌 분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경찰이 광주 외에 다른 지역에서도 휴대전화를 이용한 수능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단서를 찾았다는 소식에 네티즌과 수험생 등은 "문자를 포함한 것까지 철저하게 조사해 엄정하게 처벌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허술한 시험관리가 문제=서울 등지의 수능 부정행위 의혹이 제기되자 또다시 허술한 시험관리가 도마 위에 올랐다.

수험생 자녀를 둔 학부모는 "아무리 과학이 발달했다고 하더라도 시험관리가 소홀했으니 부정행위가 있었던 것이 아니겠느냐"면서 기가 막힌다는 반응을 보였다.

송원재 전교조 대변인은 "이 같은 대규모 부정행위가 가능한 것은 수능이 객관식이기 때문"이라면서 "단답형이나 서술형으로 출제됐으면 부정행위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감독관에게 몸수색 권한이 없는 현행 시스템의 맹점을 이용해 휴대전화를 제출하지 않고 부정행위에 이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실제로 시험감독을 했던 한 교사는 "시험장에서 철저하게 감독했는데도 이런 일이 불거질 때마다 감독교사들을 불신하는 것 같아 괴롭다"는 심경을 털어놓기도 했다.

◆ "문자가 포함된 메시지도 조사해야"=수험생들은 경찰이 개인정보 침해를 우려해 휴대전화 메시지 중 숫자조합만을 조사하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것이라며 보다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수험생'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교육부 홈페이지에서 "보통 '언어 12345'이렇게 보내지 않느냐. 한글로 적은 게 있다고 빼다니 그럴 거면 수사하지 말아라"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ID가'skgustnsla'인 네티즌은 "기본적으로 홀수형과 짝수형을 구별해야 하고 선택과목명도 적어야 되는 데 한글과 특수문자가 들어간 것을 제외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해당 휴대전화 소유자와 소유자 자녀, 메시지 수신시간과 수신할 때 위치를 조사하자"(leopard2)는 의견도 있었다.

네티즌들은 이와 함께 적발된 수험생 등에 대한 엄격한 처벌도 요구하고 있다.

'하늘'이라는 ID의 네티즌은 "수능을 위해 몇 년을 고생한 부모와 수험생이 있다"면서 "부정행위가 뿌리뽑혀야 사회가 바로 선다"고 강조했다.

◆ "재시험 또는 수능 무효"=이번 수능을 무효로 하고 다시 시험을 치자는 의견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한 네티즌(reddouble)은 "일단 몇 명이 걸리면 꼬리를 물고 연결되므로 부정행위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면서 "수능을 다시 봐야 하나"라는 생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시험은 티끌만큼의 의혹이 있어서도 안 되는 만큼 재시험을 치거나 대학에 본고사를 맡겨야 한다"('j7139')는 시각도 있었다.

하현옥.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