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신협 책임경영체제 문제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연세대 박상용 교수가 기고한 신용협동조합 관련 기사의 논리적 오류를 밝힌다.

첫째 '신협 임원은 비상근.무보수.명예직이어서 부실을 책임지는 주체가 없다'고 쓴 것은 신협의 세계적 조류를 이해하지 못해서다. 비상근.명예직 제도는 미국 등 세계 90개국에서 공통 적용하는 협동조합적 가치다.

둘째 '신협중앙회가 전문성도 없으면서 무모한 증권투자를 한다'는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 신협중앙회는 금융권 최고 수준의 전문가를 영입, 과학적인 자금운용 시스템을 운영한다. 올해 신협중앙회의 주식투자 수익률은 22.87%다.

셋째 '조합과 중앙회의 지배구조가 지극히 부실하다'고 주장했지만 신협은 신협법 71조 규정에 따라 상임 임원직을 신설, 책임경영 체제를 구축했다. 중앙회에 분야별 전문성을 가진 사무국을 두고 있다. 자산 3백억원 이상의 조합은 상임 이사장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넷째 '부대사업으로 신용사업이 허용되고 있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 신협법 39조엔 '신협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용사업을 행한다'고 규정돼 있다. 신협은 서민의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 신용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한다.

끝으로 '지역신협은 존재 논리가 지극히 약하다'고 했는데 신협은 지난 41년간 서민의 사랑을 받아왔다. 현재 조합원은 5백40만명이다. 신협은 경제적.사회적 약자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필요한 서민경제의 동반자다.

이흥우 <신협중앙회 홍보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