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 유치전 '불붙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충남 아산 ·보령시 등이 최근 도청 이전 부지 후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자 도내 다른 시 ·군들도 후보지 선정 작업에 잇따라 나서는 등 충남도청 이전 경쟁이 불붙고 있다.

아산시는 지난달 말 도청이전 연구용역기관인 충남발전연구원에 도청후보지로 아산만권 배후 신도시(2016년 개발완료)예정지역내 두 곳을 선정해 제출했다.

아산시가 제시한 곳은 국도와 접한 신도시내 아파트 용지(34만7천㎡)와 경부고속철 역사(驛舍)앞 공공청사 용지(10만8천㎡)로 도청 유치를 추진하는 시 ·군 중 후보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산시에 이어 보령시도 ‘서해안시대 중핵도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주교면 일대 관창공단내 후보지를 제시했다.기반시설 조성이 이미 완료되어 이전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물이 풍부한 점을 강점으로 꼽았다.

당초 충남발전연구원은 지난 9월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입지 기준’을 제출해 달라고 15개 시 ·군에 요청했었다.

두 시가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자 공주시는 1970년대 말 박정희 전대통령이 제2의 수도(首都)를 세우려 했던 장기면 일대를 최적의 도청입지로 주장하며 자료 제출을 서두르고 있고 이미 ‘입지기준’을 낸 홍성 ·예산 ·청양군도 후보지를 포함한 추가 자료제출을 준비 중이다.

해안 지역 시·군들의 경우 서해안 시대를 항만 입지라는 지리적이 요인을 강조하고 있으며 내륙지역은 교통의 편리함등 접근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도청이전은 지역주민들의 생활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문제”라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시 ·군들의 유치 홍보전이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충남발전연구원은 내년 6월까지 도시계획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 검토해 입지 기준을 정하고 연말까지 2∼3곳 후보지를 선정해 도에 제출할 계획이다.

90년대 초반부터 추진해온 충남도청 이전계획은 IMF 경제위기 때 논의를 유보했다가 지난해 도청에 이전추진기획단을 구성하면서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충남도청은 1896년 충청도가 남 ·북도로 분리된 후 공주에 설치됐었으나 1932년 대전으로 이전했다.

대전=조한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