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도는 학사농업인 제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전남도가 중추 농업인 육성을 위해 국내 최초로 도입한 '학사(學士)농업인 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3년전부터 시작한 학사농업인제가 대학 졸업후 받는 융자금의 까다로운 조건 등으로 중도 탈락자가 속출하고 있다.

2001년 11명, 2002년 7명, 지난해 10명 등 총 28명을 선발했으나 30%를 넘는 10명이 스스로 자격을 포기했다. 졸업생 17명 중 9명만이 '학사농업인'이 된 것이다.9명은 대학 재학 중이다. 이 제도가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은 대상이 지역내 3개 대학(전남대.순천대.목포대)농업전공 학생으로 한정된데다 학생 신분으로 융자를 위한 담보제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도는 대상자를 전국 4년제 대학 모든 졸업자(32세 이하)로 확대하고, 무담보 대출 한도를 1억5000만원으로 높이는 등 개선책을 마련키로 했다.

또 최고 2억원 받을 수 있는 대출금의 금리를 연 2%에서 1%로 낮췄으며 2년 거치 3년 분할상환 조건을 3년거치 10년 상환으로 바꾸기로 했다.

또 전문기술력을 갖춘 농업 경영단체나 농업전문학교 등에 대한 위탁교육도 지원하고 실제 농촌에 거주해 2년이상 정착 할 경우 일본.네덜란드.호주 등 선진 농업국에 대한 해외연수 혜택도 주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학사농업인 제도가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어 실질적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내용을 보완했다"며 "내년 3월까지 신청을 받아 20여명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