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남여 차이

중앙일보

입력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매일 소량의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남성의 심장마비 발생률이 44%나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80년대에 이뤄진 이 연구 이후 지금도 심장병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대상자(22071명) 모두가 중년 남성 의사였다는 것이 한계였다. 그래서 1990년대에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3987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같은 연구를 해봤다. 여기서는 ‘여성에선 아스피린 복용 효과가 거의 없다’는 것이 결론이었다. 성별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엇갈린 두 연구는 미국 의료계에 큰 숙제를 안겼고 성인지의학의 시발점이 됐다.

이대 목동병원 순환기내과 편욱범 교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심장마비의 위험도가 낮을수록(폐경 전 여성 등) 아스피린의 심장병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여성은 심장병 예고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서 남성보다 병원에 늦게 오고 그만큼 진단이 느려진다”고 조언했다.

그후 선진국의 여러 성인지 의학 연구를 통해 폐암ㆍ류마티스성 관절염ㆍ우울증 등 다양한 질환을 진단ㆍ치료할 때 성별 차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폐암은 남녀 모두에서 완치율이 낮은 암이지만 특히 여성에게 더 위험한 이유도 밝혀졌다.

국립암센터 폐암센터 박사는 “남성의 폐암은 폐의 중앙부나 비교적 큰 기도에 생기고 증상도 일찍 나타나는데 반해 여성은 폐의 주변부에서 발생해 조기 진단이 힘들다”고 말했다.

폐암에 걸린 여성 흡연자에선 k-ras 유전자의 손상이 관찰된다. k-ras 유전자가 망가지면 담배의 발암 물질을 완화하는 능력이 폐암에 걸리기 쉬워진다. 반면 남성 흡연자에선 k-ras 유전자의 손상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류마티스성 관절염도 남녀 차가 큰 질병이다. 환자의 70% 이상이 여성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젊은 나이에, 남성은 주로 중년 이후에 발병한다.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 최찬범 교수는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한 뼈의 손상은 남성에서 더 흔하지만 삶의 질 저하ㆍ기능 소실은 여성에서 더 심하다”고 말했다.

성별에 따라 약이 몸안에서 달라붙는 수용체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의사가 우울증 치료약 등 각종 약을 처방할 때도 환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가 많다. 우울증 치료약의 경우 남성에겐 삼환계 항우울제, 여성에겐 모노아민 산화효소 차단제나 선택적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제(SSRI)의 약효가 더 낫기 때문이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