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詩)가 있는 아침 ] - '닭, 극채색 볏'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5면

송재학(1955~) '닭, 극채색 볏' 전문

볏을 육체로 보지 마라

좁아터진 뇌수에 담지 못할 정신이 극채색과 맞물려

톱니바퀴 모양으로 바깥에 맺힌 것

계관이란 떨림에 매단 추(錘)이다

빠져나가고 싶지 않은 감옥이다

극지에서 억지로 끄집어내는 낙타의 혹처럼, 숨표처럼

볏이 더 붉어지면 이윽고 가뭄이다


시인에 의하면 닭의 볏은 머릿속에 있어야 할 정신이 좁은 공간을 견디지 못하고 몸 밖으로 드러난 것이다. 정신의 극한에서 머리를 뚫고 나왔기에 그것은 피가 터져 나와 굳은 것처럼 붉은색이며 터져 나올 때의 형상 그대로 톱니 모양을 하고 있다. 그것은 육체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정신의 현현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 계관(鷄冠)은 계관(桂冠)을 의미하기도 한다.

김기택<시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