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의 합참, 북 잠수함 대책 지시했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합동참모본부가 지난해 말 서해를 통한 북한의 잠수정 침투 가능성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 하달했지만 해군 일선 부대에서 후속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군 고위 관계자는 5일 “합참은 지난해 11월 대청해전 이후 이상의(사진) 의장 지시로 12월 31일 등 두 차례에 걸쳐 북한의 잠수함(정) 및 반잠수정에 의한 보복 공격 등에 관한 전술토의를 가졌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합참 내부에서도 처음에는 백령도 인근 해역은 수심이 얕고 조류가 빨라 북한의 잠수정이나 반잠수정이 침투할 가능성이 작다고 판단했다”며 “북한 잠수함(정) 침투에 대해선 무시하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다른 군 관계자는 “합참은 그때까지만 해도 북한이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해 5도에 상륙해 점령할 가능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대비하는 중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 의장의 지시에 따라 내부 검토 후 대비책을 세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합참은 이에 따라 지난 1월 해군 작전사령부와 2함대사령부에 백령도 인근 해역에서 북한 잠수함(정)과 반잠수정 침투에 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백령도 근해에 대한 대잠 경계활동을 강화하고, 천안함 등 초계함이 백령도 근해에서 경계활동을 펼 때는 불규칙적으로 항해하라는 지시였다.

그러나 2함대사령부는 백령도 해역에 대한 대잠 경계활동을 크게 강화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또 천안함도 경계활동을 벌이는 시간과 항해 경로를 불규칙적으로 하지 않았다고 한다. 천안함은 격침되기 직전 백령도 서남방 해역에선 시속 11㎞의 저속으로 이동 중이었다. 그는 “천안함이 북한의 해안포 등을 피하기 위해 레이더 음영구역(백령도 산에 가려 북한 레이더로 볼 수 없는 구역)인 백령도 서남방 해역으로 갈 필요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해안포나 지대함미사일을 발사할 준비를 하면 우리 군이 레이더를 통해 미리 알게 되는 만큼 피하도록 조치할 시간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김태영 국방장관은 4일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경계근무 중이던 우리 함정(천안함)이 기습받는 허점을 드러냈고 침투 및 국지도발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점이 있었음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