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상당기간 소강상태 맞을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0월 중 예정됐던 세차례의 당국회담이 장소문제를 둘러싼 이견으로 무산위기에 빠져 남북관계는 또 다시 상당기간 소강상태를 맞을 전망이다.

북한은 금강산관광 활성화를 위한 2차 당국회담(19일 예정)을 설악산에서 갖자는 남측 제안에 대해 17일 오후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북측은 지난 주 4차 이산가족 상봉과 태권도 시범단 서울파견을 연기하겠다고 밝히며, 금강산 당국회담을 비롯해 ▶남북경협추진위 2차회의(23~26일)▶6차 장관급 회담(28~31일)을 모두 금강산에서 열자고 주장했다.

경협 전문가인 배종렬(裵鍾烈)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은 "북측 태도로 볼 때 경협.금강산회담도 급한 관심사가 아닌 듯 하다"며 "북측은 미국의 반(反)테러전을 지켜본 뒤 남북관계 일정을 재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답답해진 쪽은 30만t의 대북 쌀지원 채비까지 했던 우리 정부다.

벌써부터 임동원(林東源)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라인을 가동한 대북 막후접촉설이 정부 안팎에서 피어오르고 있다. 국정원 김보현 3차장(대북담당)과 서영교 5국장(대북전략기획) 등 실무진이 북한 달래기와 회담연기 속사정 파악에 나섰다는 것.

하지만 지난 달 5차 장관급회담 개최로 회복됐던 반년간의 당국접촉 단절상태가 불과 한달만에 원점으로 돌아갔다는 점에서 북측을 회담 테이블에 앉히기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남북대화 재개를 위한 군부 강경파 설득과 미국의 테러전쟁에 대한 입장정리 등에 북측이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5차 서울 당국회담 당시 합의문에 6차 장관급 회담의 장소 명기를 꺼리는 등 대화의지가 별로 없음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