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1억평 해제] 수도권외 지역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 부산권=강서구 가락동 오봉산 주변과 대저2동 김해공항 주변, 명지동 영강.중리마을 일대와 녹산동 송정마을 일대, 기장군 기장읍 한일합섬 일대 등 대규모 취락지 우선 해제지역 5개 지구 1.085㎢와 기장군 일광면.장안읍.정관면 일부 등 지정 목적이 없어진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 85.318㎢가 우선 해제지역으로 거론되고 있다.

또 광역도시계획에 포함된 부산 기장군 죽성리 황학대 마을과 강서구 대저동 동연정.서연정 마을, 해운대구 반여동 상리부락, 금정구 두구동 두구마을 일대 등 10개 지구 2.839㎢는 건교부의 광역도시계획이 당초 일정보다 늦어져 연말께 해제될 전망이다.

특히 해운대 인근 기장군의 경우 장기적으로 관광단지 개발계획이 잡혀 있어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땅값 상승이 클 것으로 점쳐진다. 기장군 일광면 일광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2차선 도로변 대지가 평당 60만~70만원에 호가하고 있으나 그린벨트 해제 소문이 나돌자 매물을 거둬들이는 주인이 많아 실제 거래는 거의 없다" 고 말했다.

◇ 대구권=해제 가능 면적은 1천60만평, 조정지역내 가구수는 7천8백가구다. 달성군과 동구.북구 지역이 많이 해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달성군 가창면 등의 농지와 수성구 만촌동 남부정류장 부근을 중심으로 땅값이 꿈틀거리고 있다. 거의 전 지역이 그린벨트인 가창면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해제 소문이 나돌면서 가격이 올랐다.

◇ 광주권=광산구 운수동 어등산 일대 등 45곳 1천1백40만평이 해제 대상이다. 광역도시계획은 지역 실정에 맞춰 정하기보다 건교부에서 환경기준에 맞춰 정하므로 완전 해제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택지나 공공용지 개발 등 지자체에서 개발 수요가 발생할 때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계획 수립 등 절차를 거쳐 완화할 수 있다는 의미" 라고 설명했다.

그린벨트 내 토지를 찾는 수요가 거의 없어 거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광주 첨단지구 인근 장성군 진원면의 경우 그린벨트 안에 있는 논이 구획정리 여부에 따라 평당 4만~8만원, 밭은 4만~5만원선, 임야는 1만~2만원선에 호가만 형성된 채 연초 시세를 유지하고 있다.

◇ 대전권=대전권은 1천2백만평이 해제 대상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그리벨트이면서 주민이 20가구 이상 거주하는 1백18곳 가운데 어느 곳이 해제될지 아직 알 수 없다" 고 말했다. 이 때문에 대전권에선 그린벨트 해제와 관련, 땅값 오름세 기운이 거의 없다고 인근 부동산중개업소가 전했다.

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