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면 전면공개는 북의 대함 무기 개발 돕는 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천안함 침몰 원인의 열쇠가 될 함미와 함수의 절단면에 대해 일부 시민단체가 ‘국민의 알 권리’를 내세워 전면 공개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군 당국은 절단면 전면을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단면이 실물 그대로 노출되면 내부 구조가 고스란히 북한 정보망에 포착된다. 외벽 강판 두께나 격벽 구조를 공개하는 것은 북한이 우리 함정을 공격할 새 무기체계를 개발하는 데 결정적 도움을 주는 꼴이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지금도 우리 해군 병사들이 천안함과 같은 구조의 초계함 20여 척에서 근무 중”이라고 말했다.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절단면 전면 공개가 가져올 혼선이나 불필요한 논란도 군 당국은 피하려 한다.

절단면에 대한 정밀조사와 잔해 검출 작업이 상당 기간 진행돼야 하는 만큼 현장을 보존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군 관계자는 “24일 인양 예정인 함수부까지 살펴봐야 원인을 보다 철저히 규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15일 인양 과정에서 언론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공개가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또 민간 전문가까지 참여해 한 점 의혹 없이 원인 규명이 이뤄지기 때문에 추가 공개는 고려하기 어렵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