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청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사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충북지역의 대표적 일간지인 충청일보가 10일 주주총회를 열어 법인 청산을 결의했다.

이로써 1946년 창간됐던 충청일보는 58년의 역사를 마감하게 됐다. 이 신문은 지난달 14일자(지령 18156호)를 끝으로 이미 제작을 중단했다.

충청일보는 곧 청산위원회를 구성, 채권.채무 정리 등 청산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그러나 청산작업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의 채무는 현재 금융권 50억원과 퇴직금 등 70억여원인 반면 자산은 충주와 단양의 일부 사옥부지와 광고미수금 등 10억여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117명의 직원은 사주인 임광수 임광토건 회장이 회사채무를 100% 떠안지 않는 한 퇴직금 대부분을 포기해야 할 형편이다.

이와 함께 '충청일보'라는 제호가 어떻게 될지도 관심거리다. 일간지 제호는 1년 이상 발행되지 않으면 누구든 사용할 수 있게 돼 있다.

사측은 문화관광부에 폐간 신청을 할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노조는 사측이 청산과정에서 비노조원을 규합하고 인력을 신규 채용해 새로운 법인을 만들어 기존 제호를 그대로 쓰려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충청일보의 노사 갈등은 만성적인 경영난에서 비롯됐다. 1989년 이 신문사를 인수한 임 회장은 외환위기 직후 임광토건 명의로 사옥을 사들이는 등 부채 해결에 나섰으나 적극적인 투자를 바랐던 직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특히 올 들어 공공연히 구조조정 방침을 밝히면서 노조의 반발을 샀다.

이에 따라 노조는 '경영진 퇴진''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 9월 22일부터 파업에 들어가자 사측은 지난달 14일 직장폐쇄했다.

이에 청주 경실련.충북 민예총 등 17개 시민.사회단체는 9일 '충청일보 바로 세우기 범도민대책위원회'를 결성하기도 했다.

문종극 노조위원장은 "사측이 법인 청산 완료 이전에 제호를 노조나 도민에게 넘기도록 투쟁해 나갈 것"이라며 "제호만 확보되면 도민의 신문으로 속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조충 전무는 "여러 가지 자구노력으로 경영 정상화를 꾀했지만 노조의 무리한 요구로 청산에 이르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청주=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