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중앙의 자전거 도로 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구에서 처음 만들어진 ‘도로 다이어트’형 자전거 전용도로. 신당네거리∼대천교 왕복 7.5㎞로 지난해 11월 개통됐다. [대구 달서구 제공]

회사원 정광호(45·대구시 수성구 범어동)씨는 한 달에 3∼4차례 자전거로 출퇴근한다. 건강을 위해 매일 자전거를 이용하고 싶지만 직장이 있는 지산동까지 가기가 쉽지 않다. 인도 중앙에 설치된 자전거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곳곳에서 불법 주차차량을 만난다. 보행자나 오토바이를 탄 사람도 많아 ‘곡예 운전’을 하기 일쑤다. 도로로 내려가도 위험하긴 마찬가지다. 역시 불법 주차 차량이 많아 길가 통행이 어려워서다. 정씨는 “자전거도 교통수단인 만큼 전용도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자전거 타기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인도 중앙의 자전거 도로가 사라질 전망이다. 대신 도로 쪽 인도 변으로 옮겨지거나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된다. 시민 자전거 보유율은 50%로,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은 5%로 높아진다.

대구시가 이 같은 내용의 ‘자전거 이용시설 정비 및 활성화 계획’을 마련했다. 이 계획은 다음달부터 2014년까지 추진된다.

이에 따르면 대구의 자전거 도로는 678㎞로 135㎞(24.9%) 늘어난다. 기존 자전거 도로는 대대적으로 정비한다. 달구벌대로 등 도심 50개 구간 294㎞에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한다. 차로 폭을 줄이거나 차로를 없애는 ‘도로 다이어트’ 형이다. 나머지 구간은 인도 중앙에 설치된 자전거 도로의 위치를 도로 쪽 인도 가장자리로 옮긴다. 자전거와 통행인이 뒤엉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자전거 보관대는 2만6300개에서 3만8400개로 늘리고, 구·군마다 자전거수리센터도 설치할 계획이다.

시는 2.8%인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은 5%로, 자전거 보유율은 27.4%(69만대)에서 50%(125만9000대)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렇게 될 경우 환경개선·교통혼잡비용 감소 등 1179억원의 경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자전거 이용활성화 조례를 고쳐 자전거 주차장 등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 업체에는 교통유발부담금을 감면하고, 자전거 타기 캠페인을 하는 단체에는 보조금을 지급한다. 또 자전거 시범학교를 지정해 보관대 등 시설비를 지원하고 자전거 보급운동도 전개할 방침이다.

곽영길 대구시 교통정책과장은 “자전거 이용 여건을 개선해 대구를 친환경 녹색 교통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