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기후에너지부’신설 검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청와대가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에너지 관련 정책을 총괄할 ‘기후에너지부’의 신설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국제 경제 협력과 공적개발 원조(ODA) 전담 부처의 신설 문제를 포함한 정부조직의 개편 검토작업도 진행 중이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26일 “지식경제부 소관인 에너지 관련 업무와 환경부의 녹색성장 관련 업무, 기존 녹색성장위원회의 기획 업무를 통합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검토작업을 청와대가 시작했다”며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는 등 검토작업을 마친 뒤 최종적으로 정부조직 개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6월 지방선거 이후 청와대가 공론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취임 때 이뤄졌던 정부조직 개편을 청와대가 다시 검토하기 시작한 것은 정부 출범 당시엔 고려하지 못했던 새로운 국정과제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라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녹색성장은 2008년 광복절 때 이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처음으로 제기한 이후 핵심적인 국가 어젠다로 자리 잡았다. 특히 최근 온실가스 감축 문제를 놓고 환경부와 지식경제부가 벌인 영역 다툼(본지 3월 25일자 12면)은 청와대 내에서 녹색성장 문제를 총괄할 부처의 신설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계기로 작용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청와대는 기후에너지부를 이미 발족한 영국과 덴마크 등의 사례를 참고해 신설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ODA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조직을 만드는 문제도 연구하고 있다. 이 대통령이 신흥국과 개도국, 국제기구에 대한 국가 차원의 기여를 여러 차례 강조해 왔기 때문이다.

서승욱·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